본문 바로가기

프랑스64

덩케르크 철수작전 - 영화 덩케르크 실화인 다이나모 작전 [덩케르크 철수작전 - 영화 덩케르크 실화인 다이나모 작전]영화 덩케르크 실화는 역사상 최대의 철수 작전인 다이나모 작전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덩케르크 철수작전은 제2차 세계대전 때에 있었으며 6.25 때의 흥남철수와 비교되기도 합니다. 죽을 뻔한 수십만 명의 병사가 기적적으로 살아난 것입니다. 불가능할 것 같은 철수작전은 오히려 큰 힘이 되어 사기를 높이는 덩케르크의 기적을 만들어냈습니다. [글의 순서]1. 덩케르크 철수작전 실화2. 덩케르크 실화, 다이나모 작전3. 다이나모 작전, 덩케르크의 기적 [엮인 글 링크]영화 덩케르크 뜻과 철수작전 배경, 덩케르크의 기적 내용 덩케르크 철수작전 실화 1940년, 죽거나 포로가 될 약 34만 명의 젊은이들이 '덩케르크'의 기적으로 되살아난 '제2차 세계대.. 2017. 7. 16.
영화 덩케르크 뜻과 철수작전 배경, 덩케르크의 기적 내용 [영화 덩케르크 뜻과 철수작전의 배경, 덩케르크의 기적 내용]덩케르크의 기적이라는 내용을 담은 영화가 있습니다. 덩케르크의 뜻은 프랑스 항구의 이름인데, 이곳에서 제2차 세계대전 때 무사히 패배하였기에 승리한 작전이 있었습니다. 영화 덩케르크의 배경은 이 철수작전을 그렸으며, 살아남은 병사들은 2차 대전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글의 순서]1. 영화 덩케르크 뜻과 흥남철수2. 덩케르크 철수작전의 배경3. 덩케르크의 기적 내용 [엮인 글 링크]1. 흥남철수 - 6.25전쟁 흥남철수작전의 배경2. 덩케르크 철수작전 - 영화 덩케르크 실화인 다이나모 작전 영화 덩케르크 뜻과 흥남철수 6.25전쟁 때 '흥남철수'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인천상륙작전'으로 기습에 성공한 유엔군과 한국군은 압록강.. 2017. 7. 16.
인도 타지마할 뜻과 무굴제국 샤 자한 - 세계 7대 불가사의 [인도 타지마할 뜻과 무굴제국 샤 자한 - 세계 7대 불가사의]세계 7대 불가사의에 속하는 인도 타지마할은 무굴제국 황제인 샤 자한이 아내를 위해 만든 것입니다. 타지마할의 뜻에서도 그 사랑이 묻어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세계적 예술품을 만들고 왕비에 대한 애정을 간직하려고 했지만 샤 자한 황제의 마지막은 불행했습니다. 다만, 오늘 날 타지마할은 인류의 문화유산이 되었지만 말입니다. [글의 순서]1. 인도의 타지마할 뜻 : 마할의 왕관2. 인도 무굴제국의 샤 자한 황제3. 타지마할, 세계 7대 불가사의인 이유 인도의 타지마할 뜻 : 마할의 왕관 인도 '타지마할'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무덤"으로 손꼽힙니다. 인도에서 번성했던 무굴제국은 제5대 '샤 자한'황제에 이르러서 최전성기를 맞이하였는데, 인.. 2017. 5. 27.
레미제라블 뜻과 줄거리, 영화 뮤지컬 OST 노래 - 장발장 [레미제라블 뜻과 줄거리, 영화 뮤지컬 OST 노래 - 장발장]주인공이 장발장인 레미제라블은 소설로도 유명하지만, 세계 4대 뮤지컬로서도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워낙 유명한 이야기다 보니 영화로도 여러 편이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서 2012년 개봉한 영화 레미제라블은 줄거리가 뮤지컬로 구성된 영화입니다. 당연히 좋은 곡들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OST도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 글에선 영화에 대한 이런 상식들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영화 레미제라블 줄거리 - 장발장 이야기 레미제라블 줄거리 뜻 1 : 범죄자 장발장뮤지컬 공연보다 좀 더 원작 소설에 가까운 것이 영화 레미제라블입니다. 줄거리의 시작은 노동을 하는 죄수들이 노래하는 모습에서 시작합니다. 주인공 '장발장'은 레미제라블에서 동생을 위해 빵 한 .. 2017. 1. 11.
이발사와 외과의사 - 이발소 삼색등 의미와 의사 가운의 유래 [이발사와 외과의사 - 이발소 삼색등 의미와 의사 가운의 유래]요즘은 미용실에 밀려서 거의 자취를 감추다시피 한 것이 이발소지만, 한때는 남자는 이발소, 여자는 미용실이라고 규칙처럼 지키던 때도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이발소 삼색등의 의미가 관심사가 되기도 하고 외과의사와 이발사의 가운의 유래도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발사와 외과의사가 예전엔 같은 직업이었기 때문입니다. 1685년 프랑스 외과의사 '샤를 프랑수아 펠릭스'로부터 현대의 외과의사로 정착할 때까지의 역사를 되짚어 봅니다. 이발소 삼색등과 의사 가운의 의미와 유래 중세 유럽의 사람들은 치통으로 이를 뽑아야할 때 이발소나 대장간으로 갔습니다. 그곳에는 칼을 잘 다루는 사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종기의 고름을 뺄 때, 신체를 수술해야 할 .. 2017. 1. 6.
앙리 뒤낭 - 최초의 노벨평화상 수상자, 국제적십자 창시자 [앙리 뒤낭 - 최초의 노벨평화상 수상자, 국제적십자 창시자]1901년 최초의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장 앙리 뒤낭'은 가난한 자, 어려운 자를 돕기 위한 국제적십자를 창시한 사람입니다. 이익을 쫓는 사업가였다가 구호와 봉사를 위한 헌신의 삶을 살게 된 그의 인생은, 적십자라는 이름으로 오늘날에도 인류 사랑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1901년 최초의 노벨평화상 수상, 앙리 뒤낭 치열한 전투 중에라도 적십자 구호차량이 지나가면 그들을 보호하는 것은 국제관례처럼 되었습니다. 이렇게 된 데에는 국제적십자를 창시한 '앙리 뒤낭'의 공헌이 큽니다. 그는 이러한 공로로 1901년 최초의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하지만 노벨상을 수상할 때 그는 평범한 노인으로 살고 있었습니다. 아니, 생활고에 찌들어 힘들게 살고 있.. 2016. 12. 21.
핵전쟁, 최후의 날이 될 뻔한 날들 - 1983년 페트로프 핵미사일 사건 등 [핵전쟁, 최후의 날이 될 뻔한 날들 - 1983년 페트로프 핵미사일 사건 등]지구의 멸망은 인류 때문일 것이라고 예언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 대표적인 이유가 바로 핵전쟁입니다. 실제 역사적으로 핵전쟁이 일어날 뻔했던 상황도 있었습니다. 1983년 페트로프의 핵미사일 사건 등은 인류 최후의 날이 실수나 우연에 의해 오게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낳게 합니다. 인류 최후의 날, 1983년 핵미사일 사건 구.소련에 '스타니슬라프 페트로프'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현대에 러시아 시대로 들어선 후, 1983년의 일급기밀이 해제되며 갑자기 "인류 최후의 날"을 구원한 인물로 칭송을 받게 됩니다. 이후 페트로프는 유엔 표창장과 드레스덴상까지 받게 되는데, 거기에는 미국과 소련의 핵전쟁 위기를 막은 사연이 있었습니.. 2016. 12. 9.
좀비 뜻과 부두교, 좀비영화 - 실제로 실존 가능성 있나 좀비 뜻과 부두교, 좀비영화 - 실제로 실존 가능성 있나예전에는 드라큘라, 귀신, 악마 등이 호러물에 주로 나왔지만, 21세기에 들어서 완전히 좀비영화가 대세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제는 서양영화 뿐 아니라 한국영화에서도 좀비영화가 흥행몰이를 하는 중입니다. 그런 까닭에 실제로 있을까라는 실존 가능성의 궁금증부터, 사람들은 왜 열광하는가, 유래는 무엇인가 등등을 다뤄보면 재밌을 것 같습니다. 영화부터 소설까지 호러물의 선풍적인 대세가 된 좀비의 뜻과 좀비영화의 유래 등을 알아봅니다. 좀비 뜻은 알고 보면 불쌍한 영혼이다 좀비란 뜻은 원래 "시체처럼 된 노예"를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다가 이제는 "움직이는 시체"로 뜻이 변화되었습니다. 그런데 좀비의 어원을 쫓아가면 더 변화되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 2016. 8. 17.
맨부커상, 공쿠르상, 노벨문학상 - 세계 3대 문학상 (세계문학상) 맨부커상, 공쿠르상, 노벨문학상 - 세계 3대 문학상 (세계문학상) 세계적인 문학상으로 유명한 것은 노벨문학상(스웨덴), 공쿠르상(프랑스), 맨부커상(영국), 퓰리처상(미국), 아쿠타가와상(일본), 게오르크 뷔히너상(독일)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고 권위를 인정받는 상으로는 노벨문학상, 공쿠르상, 맨부커상을 꼽습니다. 이 상들이 바로 세계 3대 문학상입니다. 맨부커상 : 세계 3대 문학상 영국편 맨부커상의 수상자는 노벨문학상 후보에 오르는 경우가 자주 있기 때문에 세계 문학상에서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있습니다. 맨부커상은 원래는 영국과 영연방에서 출판되는 영어로 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수상하던 문학상이었습니다. 그러던 것이 2005년부터는 영연방 국가 외의 제3국의 작가들에게도 수상을 .. 2016. 5. 17.
안데르센, 그림형제 보다 덜 알려진 샤를 페로 - 신데렐라의 작가 [안데르센, 그림형제 보다 덜 알려진 샤를 페로 - 신데렐라의 작가] 유명한 동화작가라고 하면 안데르센이나 그림형제를 많이 떠 올립니다. 그만큼 안데르센과 그림형제가 동화 장르에서 이룩한 공헌은 큽니다. 하지만 동화라는 장르를 시작하게 해준 샤를 페로는 생각보다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샤를 페로의 공헌은 그 이후로 어린이들을 위한 동화들이 탄생하는 바닥을 다졌다는 데에 있겠습니다. 샤를 페로가 잘 알려지지 않은 이유 샤를 페로는 프랑스의 17세기를 대표하는 비평가입니다. 본 직업이 문학 작가가 아니기 때문에 동화작가로 분류하기는 무리가 있지만, 샤를 페로의 활동 덕분에 지금의 많은 어린이들이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게 된 것만은 분명합니다. 샤를 페로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법률을 공부하여 변호사.. 2016. 1. 28.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 - 원래는 A선상에 있었던 관현악 모음곡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 - 원래는 A선상에 있었던 관현악 모음곡] 드라마나 영화의 배경음악으로 많이 쓰이는 바흐의 곡 중에 "G선상의 아리아"는 특히 유명합니다. 마음이 차분해지는 선율 때문에 클래식을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편하게 들을 수 있는 곡입니다. 하지만 바흐의 원곡은 G선상이 아니었습니다. 바이올린 연주를 위해 편곡되면서 G선상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그 덕분에 바흐의 원곡까지 유명해진 사연을 알고 들으면 좋을 듯합니다. G선상의 아리아라고 불리게 된 이유 유명한 G선상의 아리아는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 3번에 들어 있는 곡입니다. 원래 이 곡에는 이름이 없었습니다. 당시의 관례대로 Orchestral Suite No. 3 in D major BWV 1068 - "Air"라고 불립니다. 해석하자.. 2016. 1. 11.
원자폭탄, 수소폭탄과 비운의 도시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자폭탄, 수소폭탄과 비운의 도시 히로시마, 나가사키] 제2차 세계대전이 있었던 1945년과 냉전이 시작된 1952년은 인간이 인간을 대량 학살하기 위해서 강대국들이 무기 경쟁을 하던 때입니다. 이때 원자폭탄과 수소폭탄이 발명되었는데, 인류 역사상 손에 꼽을 만큼 쇼킹한 두려움을 주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폭이 투하된 사건에도 뒷면에는 비운의 도시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20세기 중반의 죄악 -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원자폭탄은 제2차 세계대전 말기인 1945년에 미국에서 개발되었습니다. 수소폭탄은 1952년 역시 미국에서 개발되었습니다.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중국 등 세계 5대 무기 강대국들은 1960년대까지 모두 수소폭탄을 보유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현재 공식적인 핵보.. 2015.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