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지식 칼럼/초간단 지식33

미술 - 초현실주의의 기법과 초현실주의 그림 감상하는 법 초현실주의의 기법 그림의 유파 중에 비교적 근대에 탄생할 것이 초현실주의입니다. 그런데 이 미술 유파는 그리는 기술이 아니라 화가의 의도를 이해해야 그림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그에 촛점을 맞춰서 예를 들고 있습니다. 미술 - 초현실주의의 기법과 초현실주의 그림 감상하는 법 초현실주의 화가들은 그저 잘 표현하려고 기교를 부리는 것이 아니라, 보는 사람이 상상하도록 표현합니다. 그러므로 초현실주의 그림을 감상하는 방법은 그들의 의도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보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초현실주의 화가와 그 유파들은 아래처럼 그림을 배치하고 표현합니다. 패러독스 : 함께 있을 수 없는 다른 종류의 사물을 한 그림에 배치하는 것 중첩 : 여러 개의 사물을 하나로 합성하듯 뭉쳐서 그리는 것 잡종화 : .. 2022. 8. 31.
금주법과 황당한 그레이프 브릭 일화 그레이프 브릭 일화 1920년대에 미국엔 금주법이 있었습니다. 이때 벌어진 황당한 불법 사건 중에 그레이프 브릭이라는 일화를 소개합니다. 금주법과 황당한 그레이프 브릭 일화 금주법에도 술은 마셨다 미국은 1920년에 '금주법'을 발동했습니다. 수정헌법 18조는 법을 통해 제정된 술 금지 법안은 1933년까지 계속되었습니다. 마피아로 유명한 '알카포네'가 유명한 것도 이 금주법을 어기고 밀주 유통을 하면서 떼돈을 번 것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그런데, 금주법이라고 해서 무조건 술을 마시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대량으로 술을 팔지 못하게 한 것이며, 이익을 목적으로 술 가게를 운영하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더구나...!! 보관용 와인이나 직접 마실려고 조금만 담은 와인은 마실 수 있었.. 2022. 8. 31.
미국 금주법 - 1920년대 술 금지 이유와 원인 미국 금주법 1920년대에 미국에는 금주법이란 것이 있었습니다. 금주법의 공식적인 이유와 함께 역사에 적히지 않은 금주법의 원인도 추적해 봅니다. 미국 금주법 - 1920년대 술 금지 이유와 원인 1920년대 술 금지 어떤 사람은 금주법이 세계 대공황 때문이라고 잘못 알고 있기도 한데, 정확히 말하자면 세계 대공황은 1929년부터 1939년이고, 미국 금주법 기간은 1920년부터 1933년까지이니 다른 이야기입니다. 공식적으로 영향을 미친 사건은 1914년부터 1918년까지 벌어진 제1차 세계대전입니다. 식량의 양은 먹고 살기도 힘들 정도인데 이것으로 술을 만든다니, 놔두고 볼 일이 아닌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금주법은 좀 다릅니다. 유럽이 전쟁으로 폐허가 되고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갈 때, 미국은.. 2022. 8. 30.
한국인 통계 - 어떤 집에 살까? 한국 집의 평균 평수 한국 집의 평균 평수 한국인의 집 평수는 평균 얼마일까? 그런데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오히려 과거보다 점점 더 좁은 곳에 살게 된다는 것입니다. 삶의 질은 나라의 부유함과는 관계가 없는 것 같습니다. 한국인 통계 - 어떤 집에 살까? 한국 집의 평균 평수 2020년대에 기사로 난 한국 집의 통계에 대한 자료를 나열하자면 이렇습니다. 한국인의 21% 정도는 20평도 안 되는 집에 살고 있습니다. 35% 정도는 20평 ~ 30평 공동 주택에 살고 있고, 34% 정도는 30평 ~ 40평 사이의 집에 살고 있습니다. 여기에 들지 못한 총 가구까지 다 계산해서 평균을 내면, 한국 집의 평균 평수는 21.6평이 나온다고 합니다. 이 자료를 가지고 2010년과 2020년을 비교하면 오히려 0.53㎡나 줄었습니다... 2022. 8. 29.
일본 비자민 연립정부 - 1993년 일본 자민당 정권 교체 사건 일본 비자민 연립정부 세계적으로, 동아시아에서도 해악을 주고 있는 일본 정부... 일본 정부가 이렇게 골치덩어리인 이유는 수십년 간 보수정권이 집권하고 있기 때문이고, 그 중심에 자민당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일본 비자민 연립정부 - 1993년 일본 자민당 정권 교체 사건 보수 장기 집권 자민당 일본 자민당은 1955년 창립되었습니다. 일본의 두 보수당인 자유당과 민주당이 통합하며 보수합동당을 만들었고, 그 이름을 자민당이라고 지었습니다. 일본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하고도 패했다고 인정하지 않은 이유도, 한국에 대해 아직도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것도, 일본 사회 자체가 지독한 보수주의이기 때문인데, 그 중심에는 자민당이 있었습니다. 자민당 집권기간은 무려 38년이나 됩니다. 한국 전쟁으로 한국인들이 .. 2022. 8. 25.
삐끼란 뜻과 어원 - 삐끼 수입 방법과 우리말 여리꾼(호객꾼) 삐끼란 뜻과 어원 길거리를 가다 보면, 슬그머니 접근해서 물건을 파는 곳이나 유흥업소 등으로 끌고 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흔히 삐끼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삐끼의 어원은 일본어입니다. 잘못된 말이니 고쳐야 합니다. 삐끼란 뜻과 어원 - 삐끼 수입 방법과 우리말 여리꾼(호객꾼) 삐끼의 어원과 뜻 삐끼의 뜻을 쉽게 말하자면, 걸어 다니는 영업 광고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전단지 아르바이트나 단순 홍보원과는 크게 다릅니다. 이들은 업소와 관계없이 소개만 해주고 빠지며, 건당 대가를 받기 때문입니다. 삐끼란 뜻은 일본말은 ひき(히키)에서 왔습니다. "끌어당기는", "연에 연결된 줄" 같은 의미의 일본어입니다. 이것은 영업 가게로 손님을 끌어당기는 것이라는 은어가 되어 지금의 삐끼가 되었습니다. 일.. 2022. 8. 24.
조선시대 왕실 생일 잔치 - 행사 규모와 의식, 용어, 상차림 조선시대 왕실 생일잔치 조선 왕실은 어떻게 생일잔치를 했을까요? 왕실이다 보니 엄격하게 생일 규모와 상차림이 구분되었습니다. 왕실 잔치의 행사 규모와 의식 용어에 대해 간단히 살펴봅니다. 조선시대 왕실 생일잔치 - 행사 규모와 의식, 용어, 상차림 조선시대 왕실 잔치는 "연향(宴享)"이라고 불렀습니다. 생일뿐 아니라 존호를 받을 때나 기념일 등에 잔치를 벌였습니다. 왕실의 잔치 의식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친애의 정을 표현하는 진연(進宴)이었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여러 잔치 규모가 있었는데, 가장 큰 규모의 잔치부터 용어를 정리하자면 진풍정(進豊呈), 진연, 진찬(進饌), 진작(進爵) 순서입니다. 잔치상 상차림의 규모로 용어를 본다면, 수주정(壽酒亭), 주정(酒亭), 주탁(酒卓)의 순서로 .. 2022. 8. 24.
전쟁 최초의 독가스 발명 - 프리츠 하버 (비료와 독가스의 아버지) 독가스 발명가 프리츠 하버 제1차 세계대전에서 전쟁 최초의 독가스가 사용되었습니다. 이것을 개발한 사람은 프리츠 하버... 그런데 그가 비료 발명의 공헌자였다니! 전쟁 최초의 독가스 발명 - 프리츠 하버 (비료와 독가스의 아버지) 비료 발명가 프리츠 하버 프리츠 하버는 유대인 출신 독일인입니다. 1868년 태어나서 1934년에 죽었습니다. 이 사람은 잘한 것과 못한 것이 동시에 존재한 사람입니다. 잘한 것은 최초로 질소 비료를 발명한 것이고, 못한 것은 전쟁 최초의 독가스를 발명했다는 것입니다. 프리츠 하버는 화학자였습니다. 그는 공기 중의 질소를 이용해서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이것은 획기적인 것이었습니다. 그저 공기를 이용할 뿐인데, 그 결과물은 훌륭한 비료가 되기 때문입니다. 독가.. 2022. 8. 24.
냄비 코팅이 벗겨지면... - 코팅 벗겨진 프라이팬은 버려야 하나요? 프라이팬, 냄비 코팅이 벗겨지면... 프라이팬은 대부분 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냄비도 거의 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만약, 코팅이 벗겨지면 버려야 할까요? 냄비 코팅이 벗겨지면... - 코팅 벗겨진 프라이팬은 버려야 하나요? 냄비, 프라이팬 코팅의 이유 정답 먼저 말하자면, 버리는 것이 맞습니다. 단, 아주 적은 정도의 상처인지 아닌지, 판단의 차이가 있긴 하겠습니다. 프라이팬은 왜 코팅이 되어 있을까요? 열전도를 좋게 해서 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덕분에 음식이 덜 눌어붙는다는 점도 생깁니다. 이런 점에서 냄비에도 코팅이 되고 있습니다. 과거의 양은 냄비처럼 그대로 사용하는 냄비 종류는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코팅에 흠집이 난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코팅이 벗겨지면 생기는.. 2022. 8. 23.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부의 편중 비교 통계 자료 국제 부의 편중 비교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이 자료는 1910년 이후 2010년까지의 경제 지표 상의 부의 편중도를 조사한 통계입니다. 이것을 보면, 보수 자본주의가 강해질수록 부의 편중이 심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부의 편중 비교 통계 자료 부의 편중 불평등 그 나라 안의 모든 자산의 독점 비율은 상위 10%를 주로 봅니다. 이 중에서 우리나라와 비교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 영국, 프랑스입니다. 오랜 동안 선진국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미래에는 결국 우리가 경쟁 대상으로 삼을 나라들입니다. 아래 각 시대별 부자 비중 통계입니다. 순서는 연대별입니다. (표시된 % 이상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영국 1910년대: 90%, 1920년대: 85%, 1930년대: 8.. 2022. 8. 23.
작은 살림 냄비 구매 크기 - 냄기 크기와 라면 크기 비교 작은 살림 냄비 구매 크기 아주 사소한 지식 중 하나로, 자취생이나 독신자 등이 많이 사용하는 최소 냄비 크기에 대해 이야기해 봅니다. 작은 살림 냄비 구매 크기 - 냄기 크기와 라면 크기 비교 혼자 사는 독신자, 초보 자취생, 작은 규모의 신혼부부는 무조건 작은 냄비를 사는 경우가 꽤 있는데요, 적어도 어느 정도의 냄비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사람마다 의견이 다르겠지만, 냄비를 구입할 때는 지름의 17cm는 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사각형 라면의 대각선 길이가 대략 17cm이기 때문입니다. 원형 라면은 상관없지만, 사각형은 당연히 대각선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냄비에 넣기 위해 일부러 부숴야만 합니다. 바쁘게 생활하는 중에 편하게 자주 먹는 것이 라면이니, 기왕이면 몇 cm 때문에 불편.. 2022. 8. 23.
겨자를 못 먹는 이유 - 고추 냉이가 고통스러운 원인은 TRPA1 고추냉이(겨자)를 못 먹는 이유 어떤 사람은 겨자에 고통을 느끼기도 합니다. 이렇게 고추냉이를 못 먹는 원인은 TRPA1이라는 수용체 때문입니다. 겨자를 못 먹는 이유 - 고추 냉이가 고통스러운 원인은 TRPA1 겨자가 먹기 힘든 사람은? 매운 것을 못 먹는 원인이 TRPV1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그리고 TRPA1란 것의 실체도 밝혀졌는데, 이것은 TRPV1과 너무 다른 것이었습니다. TRPA1란 뜻은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ation Channel Subfamily A Member 1라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쉽게 말하자면 세포의 센서에 해당합니다. 이런 세포의 센서를 감각 수용체라고 하는데, 그중에서 TRPA1는 톡 쏘는 것들에 심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2022.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