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행8

5.18 광주항쟁 민주화 운동 - 끔찍한 만행 방송 정리 (피해 사례)​ 5.18 광주항쟁 민주화 운동 끔찍한 만행 방송 정리 (피해 사례) 어떤 사람들은 광주 참상에 허위, 과장이 많다며 안 믿으려고 합니다. 그렇게 된 이유는 절대적 강자인 가해자가 기록도 남기지 못하게 하고, 오랫동안 입도 벙긋 못하게 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그 문제는 피해자가 과장을 했다가 아니라, 가해자가 얼마나 가혹했는가에서 찾아야 합니다. 그래서 그동안 밝혀진 5.18 광주항쟁의 끔찍한 참사들을 정리했습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원인과 과정 정리는 아래 링크를 통해 따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추 천 글 5.18 정리 - "5.18 광주민주화운동" 요약 정리(원인,.. 2022. 5. 18.
토끼섬 오쿠노시마섬(오쿠노섬) - 일제의 독가스 생산과 전쟁만행 오쿠노시마섬(토끼섬)토끼섬 오쿠노시마섬(오쿠노섬) - 일제의 독가스 생산과 전쟁만행독가스 무기 생산을 감추려고 지도에서 지운 일본 섬이 토끼 관광지 되다​- 오쿠노시마섬의 독가스 생산- 일본 지도에서 지워진 쿠노섬- 관광지가 된 토끼섬- 일본이 지도에서 지운 섬- 태평양 전쟁의 일제 만행전쟁 만행에 대한 반성보다는 군사 대국화에만 관심이 많은 일본, 과거 만행의 증거가 될 독가스 공장 터가 지금 관광지가 되어 있습니다. 700여 마리의 토끼가 뛰어다니는 토끼섬입니다. 일본 大久野島(오쿠노섬)의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엮인 글] 일본 군함도 실화 위치 - 하시마섬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2020. 8. 2.
영화 우키시마호와 폭침사건 - 실화 진실의 생존자 2 [영화 우키시마호와 폭침사건 - 실화 진실의 생존자 2]​우리는 1945년 8월 15일에 광복을 맞았습니다. 그런데 70년도 넘게 지난 2019년 일본은 한국을 대상으로 무역보복을 합니다. 정치권의 분석에 의하면 한국을 업신여기던 일본이 이 기회에 한국을 손봐주겠다는 의도로 진행됐다고도 합니다. 이때 즈음 한국에서는 영화 가 개봉을 했습니다. 우키시마호 폭침사건의 실화를 다루어 진실을 파헤치려는 시도입니다. 일본의 대학살 만행으로 꼽히는 이 사건을 되짚는 두 번째 글을 연재합니다. [엮인 글] 영화 군함도 실화의 진실과 생존자 - 세계문화유산 논란 하시마섬 ​우키시마호 폭침사건 실화​1945년 8월 24일 일본 마이즈루 항에서 일어난 우키시마호 폭발사건은 큰 인명 피해를 낸 사건이었습니다. 그러나 일본 .. 2019. 8. 15.
광복과 우키시마호 침몰사건 - 일본 대학살 만행 1 [광복과 우키시마호 침몰사건 - 일본 대학살 만행 1] 한국과 일본의 갈등에는 진정한 사죄가 있었냐는 것이 있습니다. '고노 담화' 등에서 잘못을 인정하기는 했지만 문제는 일본에 보수주의가 득세할 때마다 손바닥 뒤집듯이 반성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는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진정성을 못 느끼고, 일본인들은 또 사과하냐는 반응을 보입니다. 그러나 진짜 피해자인 일제의 강제징용자들에 대한 역사는 기억에서 지워지고 있습니다. 광복이 왔어도 우키시마호 침몰사건으로 죽어간 이들도 그중의 하나입니다. 반성하지 않는 일본이 대학살의 만행을 저지른 역사를 되짚어 봅니다. [엮인 글] 위안부 소녀상 철거 - 한일 위안부 합의와 한일 협정 ​우키시마호 침몰사건의 미스터리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패망하고 나서 9일 후인.. 2019. 8. 15.
프랭크 스코필드 - 민족대표 34인의 석호필 박사와 제암리 학살사건 [프랭크 스코필드 - 민족대표 34인의 석호필 박사와 제암리 학살사건]어떤 이들은 1919년 3.1운동의 민족대표 33인에 외국인 한 명을 더하여 민족대표 34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는 민족대표 34인의 석호필로도 알려져 있으며, 제암리 학살사건을 카메라에 담아 전 세계에 고발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3.1운동과 제암리 학살사건에 얽힌 석호필 박사의 활동을 소개합니다. [글의 순서]3.1운동의 민족대표 34인 석호필 박사제암리 학살사건과 프랭크 스코필드 [엮인 글]석호필 박사 - 프랭크 스코필드의 생애와 호랑이스코필드장학문화재단 3.1운동의 민족대표 34인 석호필 박사 1919년 '3.1운동'은 역사적으로 매우 가치가 높은 사건입니다. 정치가가 잃은 나라를 국민이 나서서 되찾겠다고 .. 2017. 11. 3.
영화 군함도 실화의 진실과 생존자 - 세계문화유산 논란 하시마섬 [영화 군함도 실화의 진실과 생존자 - 세계문화유산 논란 하시마섬]영화 군함도는 1940년대 일제말기를 배경으로 하시마섬에 대한 역사적 사건을 묘사하였습니다. 그런데 군함도 실화를 살펴보면 생존자의 이야기는 영화보다 처참합니다. 이글은 세계문화유산 등재로 유네스코 논란을 일으킨 하시마섬에서 있었던 군함도 생존자의 실화를 수집한 것입니다. 일본이 숨기려는 군함도의 진실을 기억하기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글의 순서]1. 영화 군함도 실화 하시마섬2. 세계문화유산? 군함도의 진실3. 군함도 생존자의 실화 [엮인 글 링크]일본 군함도 실화 위치 - 하시마섬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논란 영화 군함도 실화 하시마섬 일본은 전국의 23개 지역을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시켰습니다. 문제는 그 중 7개 군데에서는.. 2017. 7. 19.
일본 군함도 실화 위치 - 하시마섬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논란 [일본 군함도 실화 - 하시마섬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논란]일본 군함도는 현재 작은 무인도입니다. 일본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시킨 군함도의 뜻은 군함같다하여 생긴 말인데, 원래 이름은 하시마섬입니다. 하지만 일본은 강제징용을 하고 가혹행위가 있었던 것을 숨기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강제징용 당한 조선인 사이에서 군함도는 지옥섬으로도 불립니다. 그런데 영화 군함도의 실화가 된 이곳이 세계산업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논란이 있습니다. [글의 순서]1. 일본 군함도 - 뜻과 유래, 위치2. 군함도 실화를 무시한 유네스코3. 일본 군함도(하시마)의 세계유산 논란 [엮인 글 링크]영화 군함도 실화의 진실과 생존자 - 세계문화유산 논란 하시마섬 일본 군함도 - 뜻과 유래, 위치 군함도의 뜻은 마치 군함처럼 생.. 2017. 7. 8.
731부대 - 마루타 생체실험 만행을 저지른 일본의 731부대 [731부대 - 마루타 생체실험 만행을 저지른 일본의 731부대] 마루타 생체실험을 하고도 잘 먹고 잘 살았던 731부대 책임자들 중일전쟁이 일어나기 이전 1930년대에 일본이 세운 괴뢰국인 만주국 내에 있던 부대가 731부대입니다. 비인간적이고 끔찍한 생체실험을 했던 731일 부대는 정작 일본에서는 잘 알지 못하며 한국에서도 마루타라는 소설로 겨우 알려져 있습니다. 단지 중국에서나 참혹한 731부대 생체실험의 실상을 알리기 위해 유물을 보존하고 있는 중입니다. 731부대는 처음엔 관동군 방역급수부라는 이름으로 있었는데 이시이 시로가 부임하면서 생체실험을 본격적으로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일본군은 중국에 진출하면서 수질이 안 좋은 물 때문에 사망자가 생겼는데 물 공급을 해결하고자 운영되던 부대가 731부대.. 2015.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