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총과 무대포 뜻, 무대포 어원 - 무대포 정신, 무대포 근성
[조총과 무대포 뜻, 무대포 어원 - 무대포 정신, 무대포 근성]거칠 것 없이 밀어붙이는 사람을 보고 무대포라고 부릅니다. 심지어 무대포 정신, 무대포 근성이란 말로 포장되기도 하지만, 사실 무대포 뜻은 그리 좋은 의미가 아닙니다. 일본의 영향으로 생긴 조총과 무대포 어원을 알아보며 시타라가하라 전투 등의 역사적 배경도 이해해 봅니다. [엮인 글]사이비 어원, 사쿠라 어원, 찌라시 어원과 뜻과 유래무뎃뽀, 무대포 뜻타협이나 계획 없이 마구 밀어붙이는 경우를 보고 '무대포', 또는 '무뎃뽀'라고 합니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무뎃뽀라면서 자랑스럽게 떠벌리기도 하고, 회사 중에도 무대포 정신, 무대포 근성을 가져야 한다고 교육하는 곳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말을 하는 것은 어찌 보면 자신의 무식함..
2018. 11. 16.
김덕령, 곽재우, 이산겸 - 임진왜란의 의병장, 역적으로 몰리다
[김덕령, 곽재우, 이산겸 - 임진왜란의 의병장, 역적으로 몰리다] 익호장군 김덕령장군은 이몽학의 난 때 억울하게 역적으로 몰려서 죽었습니다. 홍의장군 곽재우장군도 역모를 했다는 의심을 받은 후 은둔하여 살았습니다. 이산겸장군은 송유진의 난 때 역시 역모의 누명을 쓰고 죽었습니다. 김덕령장군, 곽재우장군, 이산겸장군 등의 역모 사건을 통해 역사를 보는 이들은 이순신장군이 전사하지 않고 살아남았다면 이순신도 선조와 정치세력에 의해 역적으로 몰렸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임진왜란 이후 정유재란,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에서 의병활동이 침체기를 맞게 된 것도 김덕령, 이산겸 등 역적으로 누명을 쓰고 죽은 의병장들이 영향이라고 보기도 합니다. 역적의 누명을 쓴 김덕령장군은 죽어서 신격화되다 김덕령 의병장군은 담양에..
2015.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