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금 이슈/시사 따라잡기231

북한의 대학입시, 대학입학, 과외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북한의 대학입시, 대학입학, 과외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북한의 대학입시는 어떨까요? 북한에서도 물론 대학에 갑니다. 출신성분이 대학입시에 유리하기도 하고, 북한도 사회구성은 남한만큼 빈부차가 극심해서 돈이 좀 있는 집안의 자재들이 대학입시에 유리하다고 합니다. 출신성분 외에도 부의 재력이 대학입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좀 새로운 사실 같습니다. 북한에 대한 여러 문서들을 종합해 볼 때 이러한 것들을 알 수 있습니다. 북한의 인구비율 상 10%~15%정도가 대학 진학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탈북자의 증언에 의하면 일반고의 경우 한 반에 40여명이 있는데 그중 2명 정도가 대학에 진학한다고 합니다. 북한의 대학입시에서 놀라운 것은 제1고등학교라고 북한에도 특목고 같은 고등학교가 있어서 40여 명 중 .. 2014. 12. 18.
채동욱 전 검찰청장 개인정보 유출사건 정리 채동욱은 어떤 사람인가? 채동욱 전 검찰총장은 대형비리 사건의 특수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95년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사건으로 시작하여 2003년 정대철 전 의원을 비리사건으로 구속시키고 2006년 정몽구 현대차회장을 비자금 혐의로 구속시켰습니다. 한편 2010년에는 스폰서검사 사건을 진행하며 축소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검찰총장에 임명된 후에는 예상대로 CJ회장을 구속시키는 등 경제비리를 수사했고 전두환/노태우의 재산을 국고에 환수하기도 했습니다. 이 부분은 국민의 지지를 받기도 했습니다. 한상대 전 검찰총장 시절엔 항명사건의 주역으로 의심의 눈초리를 받기도 했으나 취임 후엔 중수부를 폐지하는 등 검찰개혁을 공개적으로 천명하기도 했습니다. 어디서 부터 문제였나 세간의 정치평론가들은 20.. 2014. 12. 8.
MBC, SBS, JTBC... 유튜브 중단 언제까지? 방송사의 유튜브 중단 결정 12월부터는 유튜브에서 SBS, MBC의 방송 컨텐츠를 볼 수가 없습니다. 유튜브에서 방송을 보려고 하면 국내에는 공급이 중단된다는 안내가 나옵니다. 다시 말하면, 해외에서만 방송 컨텐츠를 계속 시청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MBC, SBS 뿐만 아니라 JTBC, tvN등 케이블 방송들도 이에 참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시청자들은 조금 난감할지도 모르겠으나, 아예 모든 공급을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 네이버 등 국내 포털로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동영상 사이트 점유율이 매우 높은 유튜브이기 때문에 한편 불편해지기도 하는데, MBC와 SBS 등의 방송이 앞으로도 계속 그렇게 할지, 언제까지 그럴지도 궁금해 집니다. 국내 동영상 시장의 상황 먼저 국.. 2014. 12. 6.
진보진영이 알아야 할 선별적 복지에 대한 과제 복지에 대해 국민들이 양분되어 싸우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무상급식이 있는데, 무상급식의 논쟁사유를 보면 언제나 보편적 복지냐 선별적 복지냐를 두고 싸우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진보진영은 이 논쟁을 무시하고 다른 방향으로 선회해야 합니다. 왜 보수가 선별적 복지를 주장할까? 솔직히 필자는 보편적 복지만큼 선별적 복지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글을 쓰게 된 이유는 그 선별적 복지논리가 누구의 입에서 나온 것이냐를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선별적 복지의 가치관은 더 약한 사회구성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보수당이 이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상하지 않습니까? 지금까지 보수당이 어떤 자세를 취했는지 정의할 때, 부자에게 증세와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요구하면 가.. 2014. 12. 4.
인간적인 사람들 주위에서 아무리 종북프레임으로 묶으려 애를 써도, 이런 사람들은 그저 한가지에만 충실한 사람들입니다. 바로 "인간성"! 이웃의 아픔을 함께할 줄 모르는 비인간적인 세상이라 더욱 중요한 사람들... 어쩌면 당신일지도 모릅니다. 세월호 사건은 국민들에게 많은 충격을 추었습니다. 세월호 특별법이 통과되고 마무리에 들어서는 지금... 사실은 영원히 끝나지 않을 사건이 될 것입니다. 왜냐면 국민이 양분되어 서로의 가슴에 많은 생채기를 냈기 때문입니다. 특별법 제정과 이후 사후처리에 대해서도 많은 충돌이 있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사건의 사회문제를 정부에 반대하는 사람들과 국가를 생각하는 사람들의 대결이라고 인식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세월호 피해자들을 응원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저 인간적인 "인간성"을 기본으.. 2014. 11. 25.
지지리도 복도 없는 다음... 지지리도 복도 없는 다음... 메인뉴스는 네이버 보다도 중립적인데 아고라 운영한다고 좌익으로 몰리고, 네이버 잡으려고 카톡 합병했더니 곧이어 정부가 인터넷 국민 감시하겠다고 발표해서 카카오톡이 된서리를 맞고... 어째 되는 게 그리없냐? 다음. 카카오가 합병하기 전에 났던 기사입니다.보수진영에서 진보에 치우쳤다고 비난하는 이념논쟁에 카카오톡까지 덤으로 휘말리는 것이 아닌가 걱정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보면 일베들이 주로 활동하는 공간은 다음이 아니라 네이버에 더 많은데 말입니다. http://www.fnnews.com/news/201409281741056485 카카오톡 사찰 문제로 다음의 주가가 계속적인 하락세를 맞았다는 기사입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 2014. 11. 25.
유치원/어린이집 지원 중단? 유치원, 어린이집에 아이 보내는 학부모들에게 걱정거리가 생겼습니다. 바로 보육료 지원 문제입니다. 국가와 지방자치가 지원하던 비용을 중단하고 지방교육단체에서 모두 부담하라고 하는 바람에 교육비 중단불안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치원, 어린이집에 아동을 보낼 가정은 걱정이 생깁니다. 특히, 학교돌봄이는 박대통령의 공약이었습니다. 또 다시 박정부의 공약철회가 일어나는 것인지 두고 봐야겠습니다. 초등학교에도 학교돌봄이 교육비 지원이 문제가 되겠습니다. 이 시기의 유치원, 어린이집에 보낼 아동을 둔 가정을 아직 경제적 기반이 안정되지 않은 연령대입니다. 더구나 출산을 장려한다면서 역행하는 정책을 펴는 것입니다. 새정치연합에서는 지원처리를 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정부는 예산을 할당하지 않겠다는 계획을 내 놓았습니다... 2014. 11. 25.
이 기사 한번 보세요, 훈훈한 지금 사람들... 모르는 사람 하소연에 안 갚아도 된다며 100만원을 준 사람도, 그걸 갚겠다며 떼먹지 않고 꼬박꼬박 모은 사람도 세상에는 흔치 않은 사람들입니다. 오랫만에 훈훈함을 느껴 보세요~ 조건없는 100만원으로 절망 속 60대에게 희망 준 여약사http://goo.gl/vtW7Zn 2014. 11. 25.
신해철 어록 - 노무현 애도 "물에 빠진 사람을 우리가 구하지 않았다는 죄의식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노무현의 죽음은 민주주의를 되돌리는 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었지만 그러기엔 너무 아까운 사람이 죽었다." 비록 너무 직선적인 언행 때문에 거부감을 가지는 사람도 있었을지 모르지만 신해철은 자기가 옳다고 말하는 것에 대해서는 곧이곧대로 말하는 사람이었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노재에서 노무현에 대한 신해철의 평가는 말 그대로 평가와 감정이 그대로 녹아나 있는 말입니다. 노무현의 죽음은 이후 대한민국에서 큰 영향을 끼칩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지도급 주도의 진행이 아니라, 일반 서민, 시민들의 주도로 진행되는 개기를 마련합니다. 인간적인 정치를 그리워하고 사람에 대한 사회인식이 넓게 인식되는 개기도 마련합니다. 신해철은 .. 2014. 11. 25.
눈물 왈칵 솟아 오른 사진 1장 자식 잃은 부모 마음이 오죽했을까요...ㅠㅠ. 무릎 꿇은 아버지와 떠나는 여당 대표 사진 기사. 『 http://goo.gl/HjJGWh 』 (오마이뉴스 기사사진 인용) ​원본 사진은 링크의 오마이뉴스에 가서 보세요. 2014. 11. 25.
담배값 인상에 대해 4가지 인정! 1.우리나라 담배값이 싸다-인정! 2.담배수요를 줄여야 한다-인정! 3.부자 세금 안올리고 서민돈으로 세금 늘리는 정책은 새누리당이 짱-인정! 4.그럼에도 무조건 새누리 찍어주는 서민들이 매우 많다-인정! 정부의 발표에 대해 사람들은 이렇게 또 극한 논쟁을 합니다. "서민만 쥐어짜는 정책이 옳은가?""그럼 금연정책이 나쁜 것이란 말인가?" 여기서 국민들이 착각해서는 안 되는 것은, 말의 액면만을 볼 것인가, 그 뒤에 숨겨진 면까지 볼 줄 아는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두번째 금연정책은 옳은 거라며 편을 드는 사람들은 액면만 보고 뒷면은 보고 싶지 않은 사람일 것이고, 첫번째 서민에 대한 경제적 타격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액면 보다는 시행하려는 자들의 속마음을 본 것입니다. 이때 충분히 검토되어야 할 것.. 2014. 11. 25.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대통령 지시에 검찰까지 나선다 하니 긴 말은 하지 않겠습니다. 어느 고교의 체육복... 학생들이 저 어른들보다 더 똑똑하네요. 나이 60을 살았어도 나이값을 해야 어른이지요. 2014.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