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순신9

북한의 역사 교육 - 세종대왕 한글 창제, 이순신 장군, 태조 이성계 북한의 역사 교육이성계, 세종대왕, 이순신 우리나라에서 이성계, 세종대왕, 이순신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특히 교육과정 자체가 그들에 대해 많은 설명을 비중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에서의 역사 교육은 우리와 좀 다릅니다. 이성계는 역적으로, 세종대왕은 봉건주의 왕으로, 이순신은 잘 싸우긴 했지만 임진왜란의 명장은 아닌 것으로 배웁니다. 왜 그럴까... 북한의 역사 교육은 철저히 프롤레타리아 계급론으로 과거를 해석합니다. 그래서 민중이 주체이며, 민중을 지배한 자들은 높게 평가하지 않습니다. 자신들은 세습 왕조를 하며 국민 위에 군림하면서도 말입니다.  추 천 글 일본 여자는 양반다리, 책상다리를 하지 않는다? 일본 여자는 양반다리, 책상다리를 하지 않는다?[일본 여자는 양반다리, 책상다.. 2025. 1. 6.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결말 줄거리 정보 2 - 김윤석, 백윤식, 정재영, 안보현 출연 시대극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22023년 김한민 감독의 전쟁 시대극 영화 - 露梁 | Noryang: Deadly Sea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의 결말은 역사적 사실 그대로 이순신의 죽음으로 끝납니다. 그는 마치 임진왜란에서 조선을 지키기 위해 살다가 간 사람 같았습니다. 원래 영화는 3부작으로 기획되었었고, 이 영화는 그중 마지막인 3번째 작품입니다. 김윤석, 백윤식, 정재영, 이규형, 최덕문, 박명훈, 박훈, 문정희가 출연했으며, 흥행은 누적관객수 457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이 글은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의 줄거리, 결말, 실화 정보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내용이 길어서 1부와 2부로 나눠서 연재합니다. 1부는 아래의 링크에서 계속 읽을 수 있습니다.  추 천 글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줄거.. 2024. 9. 16.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줄거리 결말 정보 1 - 김윤석, 백윤식, 허준호, 문정희 출연 시대극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 12023년 김한민 감독의 전쟁 시대극 영화 - 露梁 | Noryang: Deadly Sea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의 줄거리는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 해전의 1598년을 배경으로 합니다. 이 영화는 제작비 400억 원을 투입한 영화이며, 1편 "명량"과 2편 "한산: 용의 출현"에 이은 3부작 속편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과 인간적인 고뇌가 줄거리 내용입니다. 김윤석, 백윤식, 허준호, 김성규, 이무생, 안보현, 박훈, 문정희가 출연했으며, IMDb 평점에서 6.7점, 네이버 관람객 평점에서 8.53점을 받았습니다. (이 글은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의 줄거리, 결말, 실화 정보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내용이 길어서 1부와 2부로 나눠서 연재합니다. 2부는 아래의.. 2024. 9. 16.
노량 해전 배경 -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정리. 한산도 대첩, 명량해전 포함 노량 해전 배경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정리 1598년 12월,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이 사망합니다. 그는 마치 임진왜란에서 조선을 구원하기 위해서 태어난 것 같습니다. 이 전쟁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마지막 전쟁이었습니다. 노량 전투지의 위치는 지금의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입니다. 현재는 남해대교가 지나고 있는 곳입니다. 이 글에서는 왜 노량대첩이 있게 되었는지, 그 전에 어떤 역사적 배경이 있었는지 노량해전의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이해한다면 역사의 맥락을 이해하기에 좋을 것입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추 천 글 징비록 - 임진왜란, 정유재란을 담은 류성룡 징비록의 뜻과 의미 징비록.. 2023. 12. 29.
영화 명량 줄거리, 결말 - 명량해전과 이순신 (임진왜란 정유재란) [영화 명량 줄거리, 결말 - 명량해전과 이순신 (임진왜란 정유재란)]​ 2014년 천만 관객을 돌파한 은 누적관객수 1700만 명을 넘겼습니다. 영화 명량의 줄거리는 임진왜란 중 이순신의 '명량해전'을 되살렸습니다. 최민식, 류승룡, 조진웅, 김명곤 등이 출연하였고 김한민이 감독을 했습니다. 초대박 흥행이었으므로 명량2가 기대되었고 영화 명량 결말에서는 한산도의 거북선까지 보여줬으나 아직 후속작은 소식이 없습니다. [엮인 글] 징비록 - 임진왜란, 정유재란을 담은 류성룡 징비록의 뜻과 의미​명량 영화 줄거리 - 두려움 명량 영화 줄거리의 시작은 '이순신(최민식)'이 고문을 받는 장면, 그 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된다는 설명으로 시작됩니다. 전멸에 가까운 상태에 이른 조선 수군은 승산이 없으니 .. 2019. 2. 5.
충무공 정충신 장군 - 노비에서 포도대장이 되다 [충무공 정충신 장군 - 노비에서 포도대장이 되다] 충무공이라고 하면 누구나 이순신을 떠올리지만 사실은 12명이 있었습니다. 그중에서 충무공 정충신 장군은 노비에서 포도대장까지 올라간 인물입니다. 이것은 조선시대 신분제도에서 보기 드문 일입니다. 또한 권율의 사위이고 이항복의 동서이기도 한 명장의 일생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엮인 글]고려 무신정권 이의민 장군 - 소금장수 아들이 장군이 되다 정충신, 노비에서 포도대장의 길로 조선시대 충무공 '정충신' 장군을 설명하자면, 강직하고 청렴하며 지적인 동시에 인간적인 사람이었다고 합니다. 그는 노비에서 포도대장까지 오르는 인생역전을 이루었습니다. 전남 광주의 '금남로'는 그의 '군호'를 따서 지은 이름이기도 합니다. 충무공은 신하가 죽은 뒤 붙여주는 시호인데,.. 2018. 12. 15.
김덕령, 곽재우, 이산겸 - 임진왜란의 의병장, 역적으로 몰리다 [김덕령, 곽재우, 이산겸 - 임진왜란의 의병장, 역적으로 몰리다] 익호장군 김덕령장군은 이몽학의 난 때 억울하게 역적으로 몰려서 죽었습니다. 홍의장군 곽재우장군도 역모를 했다는 의심을 받은 후 은둔하여 살았습니다. 이산겸장군은 송유진의 난 때 역시 역모의 누명을 쓰고 죽었습니다. 김덕령장군, 곽재우장군, 이산겸장군 등의 역모 사건을 통해 역사를 보는 이들은 이순신장군이 전사하지 않고 살아남았다면 이순신도 선조와 정치세력에 의해 역적으로 몰렸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임진왜란 이후 정유재란,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에서 의병활동이 침체기를 맞게 된 것도 김덕령, 이산겸 등 역적으로 누명을 쓰고 죽은 의병장들이 영향이라고 보기도 합니다. 역적의 누명을 쓴 김덕령장군은 죽어서 신격화되다 김덕령 의병장군은 담양에.. 2015. 7. 12.
징비록 - 임진왜란, 정유재란을 담은 류성룡 징비록의 뜻과 의미 [징비록 - 임진왜란, 정유재란을 담은 류성룡 징비록의 뜻과 의미] 징비록은 16세기 말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대하여 류성룡이 기록한 책입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은 총 7년에 걸쳐 치러졌는데, 류성룡은 징비록에서 임진왜란 이전의 상황과 전쟁이 어떻게 치러졌고 조정에서는 어떻게 대처했는지를 서술하고 있습니다. 징비록은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역사기록의 가치뿐만 아니라 문학적 가치도 높이 평가되고 있습니다. 징비록의 뜻은 과거를 반성하여 미래를 대비한다는 의미 류성룡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영의정, 4도 도제찰사 등 주요관직을 거치며 전시 행정부를 이끈 인물입니다. 징비록의 뜻은 "벌주어 조심해야 할 기록"이라는 뜻입니다. 혼낼 '징'자와 삼가할 '비'자를 썼는데, 징비록의 뜻을 풀이하자면 "과거의 잘.. 2015. 6. 17.
리베르타 법칙 - 세계대전의 공중전 얻은 전투와 경영 이론 [리베르타 법칙 - 세계대전의 공중전에서 얻은 전투이론과 경영 이론] 리베르타 법칙이란? 란체스터 법칙의 뜻 처음엔 전쟁에서 우리 편이 얼마나 살아남는가에 대한 이론이었지만 현대에 와서는 경영에서 어떻게 상대를 굴복시키냐 하는 경제이론으로도 쓰이는 것이 리베르타 법칙입니다. 리베르타 법칙은 2차대전 이후 전투전략과 경영전략에서 많이 연구되었습니다. 리베르타 법칙을 연구한 사람은 란체스터입니다. 그래서 리베르타 법칙이라고도 하고 란체스터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란체스터는 영국의 항공공학 엔지니어였습니다. 비행기가 발명된 이후 1차대전, 2차대전을 거치고 전투기들의 공중전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란체스터는 공중전 결과를 관찰하다가 일련의 공통점을 발견하였습니다. 란체스터가 발견한 리베르타 법칙은 지형, 보급, .. 2015.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