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농의 샘 2 - 결말, 줄거리, 원작, OST(엠마누엘 베아르 주연)
[영화 마농의 샘 2부 - 결말, 줄거리, 원작, OST(엠마누엘 베아르 주연)] 마농의 샘 원작자인 마르셀 파뇰은 어린 시절에 들은 한 처녀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1986년 영화를 제작했습니다. 그러나 복수극이 극적일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마농의 샘 2부 줄거리는 출생의 비밀이 주 내용이 됩니다. 베르디의 운명의 힘은 마농의 샘 OST로 사용되었으며, 악인들이 업보를 받고 무너져가는 내용이 잘 느껴집니다. 마농의 샘 2부는 엠마누엘 베아르, 이브 몽땅 등이 주연을 했습니다. (이 글은 마농의 샘 2부 결말, 줄거리, OST, 원작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마농의 샘 1부 줄거리와 결말 링크는 맨 아랫쪽에 있습니다. - [엮인 글] 레미제라블 뜻과 줄거리, 영화 뮤지컬 OST 노래 - 장발장 ..
2019. 6. 22.
영화 마농의 샘 1 - 줄거리, 결말, OST, 원작(이브 몽땅 주연)
[영화 마농의 샘 1 - 줄거리, 결말, OST, 원작(이브 몽땅 주연)] 순박할 것으로 알았던 사람들도 집단이기주의 앞에서는 얼마나 사악해질 수 있는가를 볼 수 있는 영화입니다. 원작은 '마르셀 파뇰' 의 책이며 영화는 원작과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마농의 샘 OST인 '베르디'의 은 중요한 때마다 나와서 깊은 인상을 주는 메인테마입니다. 특히 마농의 샘에서 이브 몽땅의 연기는 극찬을 받았으며, 1986년 클로드 베리 감독, 다니엘 오떼유, 제랄드 드빠리디유 주연으로 1부와 2부가 만들어졌습니다. (이 글은 마농의 샘 1부 줄거리, 결말, OST, 원작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마농의 샘 2부 줄거리와 결말 링크는 맨 아랫쪽에 있습니다. - [엮인 글] 영화 셰익스피어 인 러브 줄거리 결..
2019. 6. 21.
오페라 용어 종류와 뮤지컬의 차이 - 아리아, 레치타티보 등
[오페라 용어 종류와 뮤지컬의 차이 - 아리아, 레치타티보 등]오페라 용어의 종류에는 아리아와 레치타티보가 있는데, 차이는 노래와 대화라는 점입니다. 그런데 뮤지컬에도 아리아라는 용어가 있으므로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도 함께 이해하면 좋습니다. 음악공연예술에 관심이 적었다면 오페라와 뮤지컬의 용어를 이해하므로써 좀 더 친근해지는 개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이 글의 순서]1. 뮤지컬과 오페라의 차이2. 아리아와 레치타티보의 뜻3. 뮤지컬, 오페라 용어의 종류4. 초보자라면 챙겨둘 오페라, 뮤지컬 작품 [엮인 글]뮤지컬, 오페라, 오페레타, 오라토리오, 칸타타의 뜻과 어원오페라,..
2017. 5. 1.
오페라, 뮤지컬, 오라토리오, 오페레타, 칸타타의 차이 비교
[오페라, 뮤지컬, 오라토리오, 오페레타, 칸타타의 차이 비교] 칸타타를 제외하면 오페라, 뮤지컬, 오페레타, 오라토리오는 음악과 연극이 있는 종합예술 공연작품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연기와 음악, 특수효과, 분장, 의상, 각본, 연출, 춤, 세트 디자인 등 어느 것 하나라도 모자라면 안 되는 것이 종합예술이므로 인류 문화의 총합이라는 평가도 받습니다. 가장 오래된 것도 500년이 되지 않는 형태이므로 각 장르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입니다. 고대 그리스를 재현하는 오페라의 시작 오페라는 16세기 말 르네상스 시대에 이탈리아에서 고대 그리스의 공연물을 재연해 보자는 취지에서 출발하였습니다. 그 첫 작품은 "다프네"였습니다. 제대로 시도된 최초의 오페라는 17세기 초 프랑스에서 "에우리디체..
2015.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