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준7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 기준 조치 어떻게 되나? 거리두기 3단계​ 코로나19 위기단계는 1단계, 2단계, 3단계로 되어 있습니다. ​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 기준 조치 어떻게 되나?] 코로나19 거리두기 기준은 1단계, 2단계, 3단계로 나눠집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는 봉쇄에 가까운 극단적인 조치이기 때문에 심각한 수준이라고 봐야 합니다. 이는 곧 경제적으로 국민 모두가 타격을 받는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함부로 단계를 높이지 못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이 되면 기준과 조치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역 인 글 식중독, 노로바이러스 등 장염증상과 장염.. 2020. 12. 20.
낙태죄 입법예고 - 낙태 허용 개월 수, 합법화 기준 변경 낙태죄 [낙태죄 입법예고 - 낙태 허용 개월 수, 합법화 기준 변경]​낙태죄는 계속 존재하게 되었지만, 그 허용 단계는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2020년 정부는 새 낙태죄 입법예고에서 제외되는 범위를 더 넓혔습니다. 여기에는 찬반의 논쟁이 치열합니다. 그런데 그 의견을 들어보면 양쪽이 다 옳다는 것입니다. 원치 않는 임신으로 큰 타격을 입는 산모도 보호해야 하고, 산업화와 성 개방으로 아기의 생명에 대한 경시 풍조가 늘어나는 것을 막는 것도 필요합니다.아래는 낙태죄의 현재와 새 법의 내용, 낙태의 통계, 양쪽의 입장 등을 생각해 보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엮인 글] ABO.. 2020. 10. 7.
마라도나교 - 아르헨티나의 살아있는 사람을 믿는 축구 종교 [마라도나교 - 아르헨티나의 살아있는 사람을 믿는 축구 종교] 이단의 기준, 이단의 정의는 정통 교리를 부인하는 집단이란 것도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크게 다르거나 스스로 신이 되는 경우도 이단이라고 합니다. 그런 면에서 아르헨티나 마라도나교는 이단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일명 축구 종교이기도 하지만 이 아르헨티나에 살아 있는 사람을 신으로 모시는 종교가 있다는 것에 놀랍다는 반응이 대부분입니다. 특히 그는 인간적인 면에서 논란거리가 있었기 때문에 외부에서 이 종교를 보는 시각은 좋지 못합니다. [엮인 글] 식인을 하며 견뎠다던 메두사호 침몰 사건 - 제리코의 메두사의 뗏목 아르헨티나 마라도나교 아르헨티나에 살아있는 사람을 신으로 모시는 종교가 있다고 하면 사람들이 곧이들을까요? 하지만 이것은 사실입니다... 2019. 6. 6.
미녀 카자르 공주 - 페르시아 최고의 미녀와 미녀의 기준 [미녀 카자르 공주 - 페르시아 최고의 미녀와 미녀의 기준] 미녀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물론 세월에 따라 그 기준이 변하긴 하겠지만, 그 범위는 어디까지일까요? 여기에 한 가지 재미있는 예가 있습니다. 페르시아 최고의 미녀 카자르 공주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당시 페르시아에서는 세계 최고의 미녀로 꼽혔던 페르시아 공주와 문화를 통해 미의 기준의 다양성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엮인 글] 이슬람의 하렘 - 원래부터 퇴폐, 선정적인 문화는 아니었다 페르시아 카자르 공주 역사 상 세계 최고의 미녀라고 한다면 양귀비나 클레오파트라가 떠오를 것입니다. 하지만 당시의 문헌을 연구해 보면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미녀와는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됩니다. 이것은 시대나 지역에 따라 미의 기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지.. 2018. 12. 15.
윤초란? - 2017년 윤초와 컴퓨터 버그 문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윤초 프로그램 [윤초란? - 2017년 윤초와 컴퓨터 버그 문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윤초 프로그램]우리는 똑같은 시간을 사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때는 365일+1초를 살 때도 있습니다. 이것이 윤초란 것인데, 2017년에도 윤초가 있습니다. 시간이 추가되는 것이기 때문에 윤초의 컴퓨터버그 문제도 걱정되지만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윤초프로그램을 설치하면 간단해 집니다. 2017년 새해에 추가되는 시간의 개념에 대해 알아봅니다. 윤초란 무엇인가? 왜 하는가? 2017년 윤초는 1월 1일 오전 9시에 있습니다. 이 시간이 되면 시계를 1초 뒤로 돌려놔야 합니다. 즉 2017년 윤초는 오전 8시59분 59초와 9시0분0초 사이에 1초가 추가되는 것입니다. 원래는 59초 뒤 9시가 되어야 하지만 윤초가 있는 해는 60초가 된 .. 2016. 12. 29.
평균, 중앙값, 최빈값 - 평균 연봉 발표가 엉터리인 이유 [평균, 중앙값, 최빈값 - 평균 연봉 발표가 엉터리인 이유] 2014년의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 연봉이 3150만원이라는 정부 자료가 있습니다. 월급쟁이들은 이 통계를 보고 놀랄 수밖에 없습니다. 체감 월급과 너무나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평균을 어떻게 구하냐에 있습니다. "보통"의 값을 구하는 방법에는 평균, 중앙값, 최빈값, 절단 평균, 가중 산술 평균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산술평균이라고 부릅니다. 이 외에 도형 등도 포함하여 사용되는 기하평균, 조화평균, 멱평균 등이 있으며, 평균이 얼마나 적정한가는 보기 위해 분산과 편차라는 것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평균이라는 착각의 수학에 대하여 연봉이 3150만원이라는 얘기는 월소득이 약 262만원이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대한민국은 소.. 2015. 9. 10.
약 복용량과 유통기한 - 나이와 체중, 체표면적비 [약 복용량과 유통기한 - 나이와 체중, 체표면적비] 아파도 약을 구하기 힘든 시절이 있었던 반면 요즘은 지나치게 약이 많아서 오남용의 우려가 생기기도 합니다. 가정상비약을 준비해 둔 가정이 많은데, 같은 약이라도 어른이나 아이에 따라서 먹는 양이 달라집니다. 그런데 약의 양은 어떤 기준에 의해 정해지는 것일까요? 간단한 약에 대한 상식이 있다면 약을 먹는 사람에게 알맞은 정도가 얼만큼일지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약 복용량은 나이만으로 정해지지 않는다 가정상비약 등의 약을 사면 반드시 포장의 복용방법이라든지 안에 들은 설명서의 주의사항을 읽어봐야만 합니다. 물론 약사의 처방과 조언이 있겠지만, 구매한지 오래된 약은 착오로 너무 많은 양을 먹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보통 약을 사면 어른 2알.. 2015.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