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로자5

점심시간(근무시간, 업무시간) - 근로기준법 휴게시간 점심시간 근무시간과 근로기준법 휴게시간 점심시간은 업무시간일까요? 직장인 중에는 점심시간도 근무시간에 포함되는지에 대해 궁금한 사람이 많습니다. 사실은 고용주나 상사 중에도 착각하는 사람이 꽤 많습니다. 이에 대해, 근로기준법이나 법제처 회시 등을 통해 휴게시간이 무엇인지를 확실히 해 봅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추 천 글 2023년 최저시급 - 우리나라 2023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 2023년 최저시급 - 우리나라 2023년 최저임금 월급 계산 최저시급과 최저임금 우리나라 2023년 월급 계산 2023년에는 얼마나 월급을 받을 수 있을까요? 대체로 200만 원은 넘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이를 .. 2023. 3. 22.
전국민 고용보험이란?(전국민 고용보험제란) 도입 장점 단점 [전국민 고용보험이란?(전국민 고용보험제란) 도입 장점 단점]​전국민 고용보험이란 것과 장점과 단점에 대해 정리하려고 합니다. 2020년 전국민 고용보험제란 것이 관심의 초점이 되었으니 알아둬야 할 부분들이 꽤 많습니다.만약 코로나 19가 없었다면 훨씬 나중에 거론되었을 것입니다. 코로나 사태가 없었다면, 진보층에서는 추진 의견이고, 보수층에서는 반대했을 것입니다. 현재는 추진 쪽에 더 무게가 있는 시점입니다.그러나 주목해서 봐야 할 현상은 자영업자의 강력 반발입니다. 그러므로 전근로자 고용보험 장점, 단점까지도 확인해 봐야 할 문제이기도 합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엮인 글] 전국민 100만 원 지.. 2020. 5. 11.
평균, 중앙값, 최빈값 - 평균 연봉 발표가 엉터리인 이유 [평균, 중앙값, 최빈값 - 평균 연봉 발표가 엉터리인 이유] 2014년의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 연봉이 3150만원이라는 정부 자료가 있습니다. 월급쟁이들은 이 통계를 보고 놀랄 수밖에 없습니다. 체감 월급과 너무나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평균을 어떻게 구하냐에 있습니다. "보통"의 값을 구하는 방법에는 평균, 중앙값, 최빈값, 절단 평균, 가중 산술 평균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산술평균이라고 부릅니다. 이 외에 도형 등도 포함하여 사용되는 기하평균, 조화평균, 멱평균 등이 있으며, 평균이 얼마나 적정한가는 보기 위해 분산과 편차라는 것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평균이라는 착각의 수학에 대하여 연봉이 3150만원이라는 얘기는 월소득이 약 262만원이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대한민국은 소.. 2015. 9. 10.
메이요의 호손실험과 호손효과는 인간관계이론이 되다 [메이요의 호손실험과 호손효과는 인간관계이론이 되다] 조명실험으로 유명한 호손효과는 인간관계론 1930년대에 미국의 한 기업에서는 호손실험이라는 노동조건에 대한 실험이 있었습니다. 하버드 대학의 교수는 8년에 걸쳐 4차의 실험을 했는데 호손실험 중 가장 많이 알려진 실험은 조명실험입니다. 호손실험 연구팀은 노동자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조명을 어둡게 하거나 밝게 했습니다. 작업환경에 대해 근로자들의 생산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런데 어둡게 한 그룹이나 밝게 한 그룹의 차이 없이 양쪽 그룹의 생산성이 다 올라가며 근로자들의 근로욕구가 증가하는 호손효과를 발견합니다. 호손실험을 통해 근로자들은 자신이 근로조건 대상으로 뽑혔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며 근로조건에 대해 관심을 가져 준다는 .. 2015. 2. 28.
도둑심보 재계가 4조의 손해를 봤다고 하는 대체휴일제 [도둑심보 재계가 4조의 손해를 봤다고 하는 대체휴일제] 대체휴일제? 설날, 추석 연휴가 다른 공휴일과 겹치는 경우 그 날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을 공휴일로 함 어린이날이 토요일 또는 다른 공휴일과 겹치는 경우 그 날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을 공휴일로 함 위의 내용이 대체휴일제라는 제도의 정의입니다. 2014년부터 대체휴일제가 시행이 되었습니다. 원래 쉴 수 있는 국정 공휴일이 일요일 등과 겹칠 경우, 그 다음 날이 자동으로 공휴일이 되어 쉴 수 있도록 한 제도입니다. 강제규정으로 시행된 것은 아니며 권고안으로 시행했기 때문에 공무원 및 대기업이 아니면 쉬지 않는 직장인도 많았습니다. 그 때문에 형평성에 반하는 제도가 아니냐는 여론이 있었고, 작은 기업의 직장인들은 소외감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많이 .. 2014.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