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5 백두산 폭발로 발해 멸망설이 생긴 이유 - 백두산 화산폭발 역사 1 [백두산 폭발로 발해 멸망설이 생긴 이유 - 백두산 화산폭발 역사 1]이 문서는 왜 발해와 백두산 분출설이 생겼는지 이유를 알아보는 글입니다.'발해'는 '고구려' 멸망 후 유민들이 세운 나라입니다. 그렇지만 오히려 고구려만큼이나 강했습니다. '해동성국'이란 말은 그렇게 나온 것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강력한 나라가 926년, 15일 만에 망합니다. 병자호란 때 허약한 조선이 청나라에 항복할 때까지 42일이나 걸렸는데, 말갈족까지 대군을 거닐었던 발해가 겨우 15일이라는 것은 아무리 봐도 이상합니다. 그래서 백두산 폭발로 발해 멸망이 있었다는 설이 나옵니다. 이에 발해와 백두산 화산폭발 역사를 정리해 봅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 2019. 12. 19. 태국 황금불상 - 200년간 숨겨졌던 세계에서 가장 큰 황금불상 [태국 황금불상 - 200년간 숨겨졌던 세계에서 가장 큰 황금불상]볼품없는 모양 때문에 거의 200년간이나 방치되던 석회반죽 불상이, 알고 봤더니 황금으로 된 황금불상이었다는 일이 있었습니다. 불교의 나라 태국에서 아무도 모르게 숨겨져 왔던 이 황금부처의 비밀이 풀린 것은 우연한 실수 때문입니다. 이 실수 덕분에 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불상, 황금으로 만든 부처 중 세계에서 가장 큰 불상이 있는 나라로 기네스북에 올랐습니다. [글의 순서]1. 세상에서 가장 큰 황금불상2. 실수가 발견한 황금불상3. 태국 황금불상 역사이야기 세상에서 가장 큰 황금불상 기네스북에 오른 세계에서 가장 큰 단일 나무불상은 베이징의 '옹화궁'에 있는 입니다. 기네스북에 오른 세계에서 가장 큰 옥으로 만든 불상은 중국 안산시의.. 2017. 8. 12. 추사 김정희 세한도그림 뜻과 주제 - 손재형이 지킨 문화재 [추사 김정희 세한도그림 뜻과 주제 - 손재형이 지킨 문화재]문화재를 지키려는 한 사람의 노력 덕분에 일본으로 넘어간 국보가 다시 우리에게 되돌아 온 일화가 있습니다. 국보 세한도는 하마터면 다시는 볼 수 없는 그림일 수도 있었습니다.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그림을 살려낸 서예가 손재형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또한 이 그림은 문인화이므로 미술적인 해석보다는 세한도의 뜻과 주제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의 순서]1. 세한도그림과 손재형의 사연2. 추사 김정희와 손재형, 그리고 손창근3.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그림 [엮인 글 링크]한국 미술사의 공헌자이며 간송미술관의 설립자 전형필 세한도그림과 손재형의 사연 '추사 김정희'는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살았던 조선의 문인입니다. 김정희의 '세한도'는 많.. 2017. 6. 30. 한국 미술사의 공헌자이며 간송미술관의 설립자 전형필 [한국 미술사의 공헌자이며 간송미술관의 설립자 전형필] 일제초기 조선 3대 갑부 전형필의 집안 전형필은 일제강점기에 갑부집 아들로 태어나 일본에서 법학을 전공할 정도로 유복하게 자랐습니다. 부친이 일찍 사망하여 24세에 조선 3대 갑부 중 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전형필의 자산은 현대 시세로 보면 6천억 원이 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부친과 양자 들어간 숙부의 재산을 다 상속받아서 후에 미술품을 모으는 자금으로 활용됩니다. 서예가며 고서화 감식가였던 오세창에게 많은 것을 배우며 우리 문화유산을 지키기로 마음먹은 전형필은 30년대부터 서화, 도기, 미술작품 등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수많은 국보급 유물들을 모우기 시작했습니다. 오세창은 언론인이며 독립운동가, 서화가, 정치인이기도 한 사람입니다. 3.1운.. 2015. 2. 15. 구석기 시대의 구석기 주먹도끼, 아무나 만드는 것이 아니었다 [구석기 시대의 구석기 주먹도끼, 아무나 만드는 것이 아니었다] 한국의 구석기 시대 유물이 세계 구석기 학설을 뒤엎다 모비우스 학설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하버드 대학교의 모비우스 교수는 구석기 문화권을 양날형 주먹도끼 문화권과 외날형 찍개 주먹도끼 문화권으로 구분하였습니다. 흔히 이 양날형 주먹도끼을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라고도 부르는데,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발견 되었습니다. 반면 외날형인 찍개 주먹도끼는 동아시아에서 주로 발견이 되었습니다. 모비우스 교수가 이 것으로 구석기의 주먹도끼 문화를 두개로 나누자 그 동안 서양쪽의 구석기 문화가 더 발달했다는 학설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었습니다. 그런데 경기도 연천에 있는 전곡리 유적에서 동아시아 최초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출토되었습니다. 모비우스 학설이 깨지는 .. 2014. 12.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