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정권6 12.12사태 요약정리 - 12.12 쿠데타 군사반란 요약정리 [12.12사태 요약정리 - 12.12 쿠데타 군사반란 요약정리]국가가 위태로운 상황에 더 위험한 행동으로 군 내부 하극상을 벌였던 1979년 12월 12일의 군사반란을 12.12 사태라고 부릅니다. 전두환의 12.12 쿠데타는 6월 항쟁 등으로 이어지며 대한민국 현대사의 커다란 구분점이 됩니다. 그 배경부터 12.12 사태의 원인과 결과까지 전체적인 흐름을 정리했습니다. [엮인 글]안병하 경무관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바른 경찰12.12 사태 요약정리1960년, 제1공화국의 '이승만' 전 대통령은 부정부패와 반민주로 인해 국민의 저항을 받았습니다. 그것이 '4.19 의거'입니다. 국민들은 이제 독재를 몰아내고 제대로 된 민주주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희망에 찼습니다. 그러나 1961년,.. 2018. 12. 12. 이런 사람이 바보 노무현입니다 2 - 불의에 굴하지 않는 바보 [이런 사람이 바보 노무현입니다 2 - 불의에 굴하지 않는 바보]우리 정치사에 바보라는 별명을 가진 정치인이 있었습니다. 그 정치인은 바보 노무현입니다. 안 될 줄 뻔히 알면서도 포기하지 않고 끈질기게 덤벼들었던 정치인... 불의에 굴하지 않고 소신껏 자기 갈 길을 가던 정치인... 바보 노무현이 정치를 하게 된 과정을 여러 가지 증언을 통해서 알아봅니다. [글의 순서] 1. 정치인 노무현입니다2. 5공 청문회 스타 노무현입니다3. 손해를 알면서도 도전한 노무현입니다4. 결국 인정받은 바보 노무현입니다 정치인 노무현입니다 부산 경남은 보수당 지지 지역이지만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정부에 쓴 소리를 하는 야권지역이었습니다. 이 정치구도가 보수화된 이유는 '김영삼' 전 대통령이 군사정권 세력과 '3당 .. 2017. 6. 3. 고려 무신정권 이의민 장군 - 소금장수 아들이 장군이 되다 [고려 무신정권 이의민 장군 - 소금장수 아들이 장군이 되다]고려 무신정권의 이의민 장군은 격동의 역사에서 미천한 신분으로 권력자에 오른 인물입니다. 무신 이의민은 고려 의종 때 무신정변이 일어난 이후 실권을 쥐었습니다. 그는 외적과의 공보다는 무신정권의 내부 권력다툼에서의 권력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어쩌면 그저 소금장수 이의민으로 평생 살았을지도 모르는 그가 어떻게 고려의 이의민장군이 되었는지, 삶을 따라가 봅니다. [글의 순서]1. 고려 무신정변과 이의민2. 소금장수 이의민, 장군이 되다3.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최충헌 무신정권 고려 무신정변과 이의민 소금장수의 아들 '이의민'이 어떻게 고려 무신정권의 장군이 되었는지 보기 전에 '무신정변'이 어떻게 일어나게 되었는지를 먼저 알아야겠습니다. 고.. 2017. 6. 3. 가난에서 인권변호사로... 이런 사람이 노무현입니다 - 1 [가난에서 인권변호사로... 이런 사람이 노무현입니다 - 1]제16대 대통령 노무현은 대한민국 대통령 중 가장 서민적인 대통령으로 꼽히는 정치인입니다. 그래서 한국인이 가장 그리워하는 대통령 여론조사에서 1위를 했던 인물이 또한 노무현입니다. 가난한 서민의 가정에서 태어나서 부유한 조세전문 변호사가 되었다가, 인권변호사로 사회문제를 깨닫는 시간까지의 과정을 증언을 통해 알아봅니다. 가난한 시골 소년 노무현입니다 가난한 소년 '노무현'은 1946년 경남 김해의 한 시골에서 태어났습니다. 5남매의 형제 중에서 늦둥이로 태어나 어머니가 가정경제를 책임지는 가정에서 성장했습니다. 초등학교 시절은 공부는 어느 정도 했으나 마음 상하는 일이 많았던 노무현입니다. 미술시간에 크레용을 준비하지 못해서 혼나기도 하고 '.. 2017. 5. 30. 역대 대통령 선거와 당선 대통령 지지율 - 2. 박정희 [역대 대통령 선거와 당선 대통령 지지율 - 2. 박정희] 1961년 군사쿠데타 이후 한국은 약 30년간 군사정권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동안 대선에서의 지지율은 지금은 상상하기도 힘든 높은 퍼센트를 보입니다. 박정희 집권기간 동안 한국은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했지만, 집권말기에는 지나친 중화학공업 투자로 물가상승률이 18.3%에 이르는 등 국민의 고난이 가중되었습니다. 더구나 노동자, 농민에게 계속된 희생을 강요하는 정책으로 민심도 악화되는 시기였습니다. 제5대 대통령 박정희 46.6% / 윤보선 45.1% 1960년 제2공화국이 열렸으나 1961년 군사쿠데타가 일어나고 1962년 제2공화국의 내각책임제를 다시 대통령 직접선거제로 바꾼 제3공화국이 시작되었습니다. 1963년 제5대 대선에서는 박정희가 46.. 2015. 12. 27. 국정교과서 반대 이유와 국정교과서 논란의 진짜 문제점 [국정교과서 반대 이유와 국정교과서 논란의 진짜 문제점] 역사교과서의 국정교과서 논란이 뜨겁습니다. 왜 국정교과서를 시행해야 하는지와 왜 국정교과서를 반대하는지의 표면적인 이유들은 이미 언론과 온라인에 수 없이 많이 있기 때문에 생략합니다.그러나 국정교과서를 집요하게 추진하는 정치인들의 속셈과 실질적인 문제점에 대해서는 관찰해 봐야 합니다. 국민통합이나 좌우의 균형 등을 이유로 찬성하는 쪽도 많습니다. 하지만 일부는 껍데기 주장이므로 정치인들에게 놀아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치인들의 속셈까지 생각해 봐야하는 것입니다. 국정교과서 논란 이전의 상황 이해하기 과거의 한국인은 오랜 유교사상과 친일영향, 군사정권 때문에 보수적인 국민이 매우 많았습니다. 그리고 한국 정치는 60년간이나 보수정권이 권력을.. 2015. 10.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