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지식 칼럼/언어-의미

남침과 북침 - 6.25 한국전쟁은 북침인가 남침인가, 확실한 정리

2025. 3. 3.

남침과 북침

6.25 한국전쟁 북침, 남침 논란


남침과 북침 - 6.25 한국전쟁은 북침인가 남침인가, 확실한 정리
남침과 북침 - 6.25 한국전쟁은 북침인가 남침인가, 확실한 정리 ⓒ Time Warner


 

6.25 한국전쟁은 북한이 쳐들어 온 것일까요, 남한이 쳐들어 간 것일까요... 이미 역사적으로 결론이 난 허황된 질문입니다. 그런데 아직도 남침과 북침 논란이 종종 일어납니다. 어떤 언론에서는 젊은이들이 북침으로 알고 있다며 젊은층의 문해력을 비난합니다. 정치권에서는 보수당이 이 단어를 가지고 쓸데없는 공격에 활용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6.25 한국전쟁의 북침, 남침 논란이 왜 생기는지, 한자 문제와 함께 우리말의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고정관념을 버리는 것이 답입니다.

 


 

남침과 북침 - 6.25 한국전쟁은 북침인가 남침인가, 확실한 정리


 

6.25 한국전쟁은 남침인가, 북침인가

 

21세기에 들어온 지가 한참인데 아직도 가끔 때아닌 사상검증 논란에 사용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6.25 한국전쟁은 북침인가 남침인가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사용된 한자는 北侵(북침. 북녘 북, 침노할 침)과 南侵(남침. 남녘 남, 침노할 침)입니다. 즉 북한이 먼저 침략한 전쟁인가, 남한이 먼저 침략한 전쟁인가 하는 논란입니다.

 

6.25 한국전쟁에서 민간인의 피해도 엄청났다
6.25 한국전쟁에서 민간인의 피해도 엄청났다 ⓒ Time Warner

 

해결책을 먼저 제시한 후, 아래에서 그 이유와 배경을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아주 간단합니다. 북침이나 남침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북이 침략", "남으로 침략"이라고 말하면 됩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별것도 아닌 것을 가지고 문해력이 어떠니, 사상이 어떻고 종북이 어떻고 하면서 미친 것처럼 달려 들고 있는 중입니다.

 

이 단어가 사상검증 논란이 되는 이유는 대한민국에서는 북한이 침략했다고 하고 있고, 북한에서는 남한이 미국과 함께 북으로 침략했다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말은 만약 남한이 침략했다고 한다면, 북한의 주장을 따르는 종북 논란으로 번지게 됩니다. 그러나 경제 차이가 엄청난 지금, 종북이란 단어 자체가 말도 안 되는 말입니다.

 

탱크를 앞세운 북한군 침략 - 남침, 북침 한자
탱크를 앞세운 북한군 침략 - 남침, 북침 한자 ⓒ Time Warner

 


 

남침 뜻과 북침 뜻 비교

 

국가적 공식 표현은 "6.25 한국전쟁은 남침이다"입니다. 즉 북이 먼저 공격해서 민족끼리 죽이는 비극이 발생했다는 설명입니다. 역사적 연구에 의해 이것이 맞습니다. 문제는 단어입니다. 누군가 정해 놓으면 그 말만 사용해야 한다는 보수적인 불통이 강하면 이게 무슨 문제인지 이해하지도 못합니다.

 

같은 한자권인 중국어로 "인도가 침략했다"와 "인도를 침략했다", "인도가 침략당했다"를 뭐라고 적는지 봅시다. 차이점은 주어와 목적어의 차이입니다. 즉 침략을 한 쪽과 당한 쪽으로 각각 한자의 쓰임을 알아보는 것입니다.

 

  • 인도가 침략했다 : 印度(인도)侵略(침략)了
  • 인도를 침략했다 : 侵略(침략)了印度(인도)
  • 인도가 침략당했다 : 印度(인도)被侵略(침략)了

 

위 번역에서 인도가 주어인 경우 인도가 침략이라는 단어보다 앞에 옵니다. 하지만 인도가 당한 쪽인 목적어인 경우에는 침략이 먼저 오고 인도가 뒤에 옵니다. 한자는 영어처럼 주술목 구조로 배열되기 때문입니다. 인도가 침략당했다는 경우 인도가 앞에 오기는 하지만, 당했다는 被(피. 접두사)가 추가로 붙습니다.

 

1950년 북한군의 포병 전력도 압도적이었다
1950년 북한군의 포병 전력도 압도적이었다 ⓒ Time Warner

 

 


 

남침, 북침 논란의 결론

 

한자 배치의 순서로 본다면, 북한이 침략했다는 주어가 북한이니까 "북침"이라고 해야 하고, 남한을 침략했다고 하면 목적어니까 "침남"입니다. 그리고 남한이 침략당했다를 표현하려면 "남피침"이라는 말을 써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논란이 되고 있는 "남침"은 거꾸로입니다. 한자 순서로 보면 남한이 주어인 것입니다.

 

한국어라서 다르다는 주장은 말이 안 됩니다. "미국으로 간다"라는 표현을 한국어로 도미(渡 건널 도, 美 미)라고 합니다. 신문 검색하면 자주 나오는 단어입니다. 여기서 분명히 목적어인 미국이 뒤에 쓰였습니다. 남한을 침략한 것이라면 남한이 목적어이니, 오히려 "침남"이라고 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남침, 북침 논란의 결론은 무엇인가?... 다른 단어와 배치에서 오해가 생길 단어를 만들어 놓고는, 그대로 따르지 않는다면서 화를 내고 있다는 것입니다. "남침"이라고 하지 않고 그냥 우리말 어순으로 "남한을 침략"이라고 사용하면 아무 문제가 없는데, 모든 말을 한자 단어로 축약하려는 못된 심보가 있는 사람들이 이 문제를 만든 것입니다.

 

시내로 진군하는 북한군 - 6.25 한국전쟁은 남침이다
시내로 진군하는 북한군 - 6.25 한국전쟁은 남침이다 ⓒ Time Warner

 


 

생각구조가 공산당인 사람들

 

어떤 사람들은 요즘 젊은 사람들이 이 말을 구별하지 못한다며 문해력에 큰 문제가 있다고 비난합니다. 2020년 조사에서 20대의 절반이 "북침"이라고 잘못 대답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누가 먼저 공격했냐고 조사하면 북한이 먼저 침략했다고 답변했다고 합니다. 즉, 기성세대가 한자어를 마구 쓰면서 신세대를 문해력이 없다고 공격한 것입니다.

 

언론 기사나 블로그 등에서 이 말에 대해 설명하는 글들이 매우 많지만... 이런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단어와 역사만 가지고 어떤 단어가 옳은지만 설명하고 있는 것이 더 황당합니다. 아주 간단한 해결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들 한자에 미쳐서 바꾸지 못하는 고집들 때문인 것을 대부분은 생각하지도 못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정치적으로 이 단어를 악용하는 사례도 매우 많습니다. 이 말을 가지고 상대를 헐뜯는 것은 그들이 북한 공산당식 사고구조를 가졌기 때문입니다. 북한 공산당은 자신이 정의한 말만 절대적입니다. 진짜 민주주의 국가는 다양한 의견이 있으면 대화와 협상으로 기준을 정하고 따릅니다. 즉 종북이라고 헐뜯는 사람들은 생각구조가 북한공산당인 것입니다.

 

북괴의 오토바이 기동대 - 북침 뜻, 남침 뜻
북괴의 오토바이 기동대 - 북침 뜻, 남침 뜻 ⓒ Time Warner

 

 


 

우리말을 좀 연구하라

 

그동안 하도 말이 많으니, 결국 문재인 정부 때 국방부에서도 "남침" 대신에 "북한의 남침"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 말을 가지고 종북이니 어쩌니 비난하는 일이 그 후로도 있었습니다. 알고보면 그 비난하는 사람의 뇌구조 자체가 북한방식인데 스스로 그것을 깨닫지 못하는 것입니다.

 

북한군과 탱크 - 6.25 한국전쟁 북침, 남침 논란
북한군과 탱크 - 6.25 한국전쟁 북침, 남침 논란 ⓒ Time Warner

 

결론적으로 북침과 남침 논란은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가? 한자에만 미쳐 있지 말고 우리말 구조대로 주어 조사와 목적어 조사를 사용하면 됩니다. 즉 "북한의 침략"이라고 하면 해결됩니다. 간단한 해결법을 놔두고 좁은 시각으로 자신이 사용하는 말만 맞다고 주장하거나, 이를 악용해서 남을 비난하는 짓을 하면 안 됩니다. [저작권법 표시] 이 글의 원본: 키스세븐(www.kiss7.kr) 

 

말은 되도록 일상의 우리말을 기초로 만들어야 합니다. 한자나 영어면 무조건 고급인 것처럼 생각하고 말을 만들면 안 됩니다. 만약 그에 맞는 순우리말이 없다면 한자어라도 우리말로 풀어 써야 합니다. "북한의 침략", "남한을 침략"이라고 하면 될 것을 괜히 북침, 남침이라고 붙여 쓰면서 남을 헐뜯는 못된 버릇을 고쳐야 합니다.

 

 


 

함께 볼 심심풀이 지식거리

 

6.25전쟁 원인과 6.25전쟁 과정 - 한국전쟁 정리 (배경과 발발, 휴전일까지)

 

6.25전쟁 원인과 6.25전쟁 과정 - 한국전쟁 정리 (배경과 발발, 휴전일까지)

6.25전쟁 원인과 6.25전쟁 과정 - 한국전쟁 정리 (배경과 발발, 휴전일까지) 1500년대 이후의 단일 전쟁으로는 7번째로 많은 사상자를 낸 전쟁이 6.25전쟁입니다. 그리고 6.25전쟁의 피해는 너무나 막

kiss7.tistory.com

 

인천상륙작전의 첩보부대와 특공대 - 영흥도 작전, 팔미도등대 켈로부대 작전

 

인천상륙작전의 첩보부대와 특공대 - 영흥도 작전, 팔미도등대 켈로부대 작전

인천상륙작전의 첩보부대와 특공대 - 영흥도 작전, 팔미도등대 켈로부대 작전 인천상륙작전이 있기 직전, 첩보부대와 특공대의 활약은 영화의 소재가 될 만큼 극적입니다. 그래서 영흥도 작전

kiss7.tistory.com

 

 

[ 남침과 북침 - 6.25 한국전쟁은 북침인가 남침인가, 확실한 정리 ]

 

키스세븐지식은 키스세븐과 그룹 사이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