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항쟁4 영화 1987 실화, 실존인물 - 줄거리, 결말 [영화 1987 실화, 실존인물 - 줄거리, 결말] 영화는 실존인물의 실화를 영화화한 것입니다. 2017년 장준환 감독이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등과 만들었습니다.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을 배경으로 하며 이한열 사망까지를 내용으로 합니다. 영화 1987의 줄거리, 결말은 실화와 거의 일치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하고 노력한 실존인물들에 의해 6.29선언으로 이어지는 현대사를 그렸습니다. [엮인 글] 택시운전사 김사복 실존인물 화제와 박중사 실화 1987 영화 줄거리, 결말 영화는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실화)을 먼저 보여줍니다.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을 받던 중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사망한 것입니다. 수사관들은 중앙대 병원에서 급히 의사를 부르지만 결국 살리지 못합니.. 2019. 2. 17. 12.12사태 요약정리 - 12.12 쿠데타 군사반란 요약정리 [12.12사태 요약정리 - 12.12 쿠데타 군사반란 요약정리]국가가 위태로운 상황에 더 위험한 행동으로 군 내부 하극상을 벌였던 1979년 12월 12일의 군사반란을 12.12 사태라고 부릅니다. 전두환의 12.12 쿠데타는 6월 항쟁 등으로 이어지며 대한민국 현대사의 커다란 구분점이 됩니다. 그 배경부터 12.12 사태의 원인과 결과까지 전체적인 흐름을 정리했습니다. [엮인 글]안병하 경무관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바른 경찰12.12 사태 요약정리1960년, 제1공화국의 '이승만' 전 대통령은 부정부패와 반민주로 인해 국민의 저항을 받았습니다. 그것이 '4.19 의거'입니다. 국민들은 이제 독재를 몰아내고 제대로 된 민주주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희망에 찼습니다. 그러나 1961년,.. 2018. 12. 12.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남영동과 6월 항쟁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남영동과 6월 항쟁]1980년대의 추억을 현대의 눈으로 다시 보는 TV드라마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과거를 추억할 수 있기까지는 수많은 사람들의 죽음과 희생이 바탕이 되었습니다.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이한열 사건과 더불어 한 청년의 죽음을 통해 현재의 민주화를 쟁취하는 역사적 사건입니다. [글의 순서]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1987년 고문사건 은폐박종철 사건과 6월 항쟁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1979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시해 당한 후, 약 20년 동안 독재 아래에 살던 국민들은 민주주의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1980년 `전두환` 군부의 쿠데타로 인해 기대는 물거품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한번 민.. 2018. 1. 12. 역대 대통령 선거와 당선 대통령 지지율 - 3.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역대 대통령 선거와 당선 대통령 지지율 - 3.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오랜 군사독제에서 벗어날 희망을 흔히 "서울의 봄"으로 표현합니다. 1979년 대통령 시해사건으로 암울한 시기를 맞았지만, 한국은 민주화의 다시 맞을 기회를 가졌습니다. 그러나 1979년 전두환 등 군부는 또 다시 쿠데타로 정권을 빼앗았습니다. 이에 대한 민중의 저항으로 민주주의를 되찾기까지 많은 희생이 있었습니다. 보수권에서는 민주화집회를 아직도 빨갱이시위라고 부르지만, 이런 시위를 통해서 한국은 아시아 최초로 국민이 직접 민주화를 이루어낸 첫 국가가 되었습니다. 제10대 대통령 최규하 100% / 단독 후보 1979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부마사태 등 민심이 떠나가는 가운데, 결국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박정희를 시해하는 10.2.. 2015. 12.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