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4 인용과 기각의 차이 - 인용 뜻, 기각 뜻과 한자, 각하와의 차이 인용 기각인용 뜻, 기각 뜻과 한자, 각하와의 차이 대한민국은 선진 민주주의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탄핵 사태를 세 번이나 겪었습니다. 이런 사태의 마지막 결정은 헌법재판소에서 합니다. 이때 심판에서 사용하는 인용, 기각의 뜻과 차이점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먼저 알아 둘 것은, 법률 용어가 헷갈린다면 쉬운 평상시 말이나 순우리말로 바꿔서 생각해 보면 된다는 것입니다. 별것 아닌 것을 굳이 잘 안 쓰는 한자말로 고집할 필요는 없기 때문입니다. 법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게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인용과 기각의 차이 - 인용 뜻, 기각 뜻과 한자, 각하와의 차이 법률 용어, 우리말로 해도 된다 법률 용어를 이해하려면 기준을 달리 생각하는 것도 필요합니.. 2025. 3. 3. 법률용어 각하, 인용, 적시, 구형 뜻 - 구형이란? 적시란? 인용이란? 각하란? 인용, 적시, 구형, 각하 법률 용어 뜻과 이해 "검찰은 구형했습니다", "판결문에 적시했습니다", "판사가 인용했습니다", "대법원에서 각하했습니다"... 뉴스를 보면 이런 법률용어들이 나옵니다. 그런데 사실 알고 보면 법률 용어라고 할 필요도 없는 단어들로 인해 오해하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구형 뜻과 인용, 적시, 각하의 뜻을 정리하고 설명하고, 법률용어를 더 쉽게 바꿔야 하는 이유를 지적하려고 합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추 천 글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이란 뜻과 DLS, DLF 뜻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이란 뜻과 DLS, DLF 뜻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이란.. 2021. 6. 28. 이바라기 노리코 - 일본 교과서에 실린 윤동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이바라기 노리코 - 일본 교과서에 실린 윤동주 시집 ] 한국이나 일본이나 극단주의자들이 문제지만, 일본의 혐한감정은 역사적 가해자가 피해자를 공격하는 것이므로 더 악질적입니다. 그런데 이런 일본이 일제강점기에 죽게 만든 조선의 시인 윤동주의 시를 학생들에게 가르쳤습니다. 일본 교과서에 실린 윤동주의 시집은 라는 것입니다. 이바라기 노리코라는 시인의 글을 통해서지만 역사의 아이러니이기도 합니다. [엮인 글] 나혜석, 최초의 서양화가 - 나혜석거리의 페미니스트 "여자도 사람이외다" 일본 교과서에 실린 윤동주 시집 1990년, 일본 교과서에 윤동주의 시집이 실렸습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일본의 여류시인 '이바라기 노리코'의 글에 윤동주 시가 인용된 것인데, 국어 교과서 중 '신편 현대문'에 하늘과 바람과.. 2019. 2. 23. 저작권 CCL기호의 종류와 의미 - 블로그 이미지 등의 저작권 표시 [저작권 CCL기호의 종류와 의미 - 블로그 이미지 등의 저작권 표시]저작권은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 하지만, 어떤 때는 남의 글을 퍼오거나 이미지를 무료로 사용해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무료 사용권의 표준을 정하기 위한 것이 저작권 CCL이고, CCL기호의 종류나 의미를 알아두면 여러모로 좋습니다. 그래서 블로그 등에 무료 이미지나 글을 사용할 수 있는 오픈 라이선스 규약을 정리해 봅니다. 저작권 CCL기호의 기본 이해 먼저 이해해야 할 것은, 저작권 CCL기호가 저작권을 포기하는 표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저작권 부담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맞지만, 어떤 경우든 원래 저작자의 저작권은 살아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저작권 CCL기호가 오픈 라이선스라서 마음대로 퍼왔다고 할지라도,.. 2017. 1.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