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중근6

독립운동가 최재형 -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암살 뒤엔 그가 있었다 독립운동가 최재형이토 히로부미 암살 계획자 러시아 국적이지만, 대한민국의 중요한 독립운동가였던 사람이 최재형입니다.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제거하는 작전에는 그의 희생과 보살핌이 있었습니다. 러시아의 부자가 되었지만 독립운동에 헌신한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를 소개합니다. 그가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국적이 러시아였고, 광복 후에도 한국 정치에서 활동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일제에 의해 사살당해서 시신마저 찾을 수 없는 위인입니다. 나라를 위해 희생한 사람은 반드시 기억해 주어야, 또 다시 나라가 어려을 때 나서는 인물이 생길 것인데 안타까운 일입니다.  추 천 글 홍범도 장군 - 사망과 유해 봉환 / 공산주의, 자유시 참변 오해 정리​ 홍범도 장군 - 사망과 유해 봉환 / 공산주의, 자유시 .. 2024. 12. 26.
독립운동가 우덕순 - 안중근과 함께 이토 히로부미 암살 작전을 하다 독립운동가 우덕순안중근과 이토 히로부미 암살 작전 이토 히로부미는 전쟁 중 전투 작전의 하나로 안중근에게 처단당한 인물입니다. 우덕순은 안중근과 활동하며 이토 히로부미 암살 작전을 했던 독립운동가입니다. 안중근의 거사에 가려져서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지만, 안중근이 아니라 그가 암살에 성공했을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역사 취재로 인해 논란이 일어납니다. 이승만과 정치를 하며 건국훈장까지 받았지만, 사실은 우덕순이 변절하여 일제의 밀정이 됐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그 증거는 여러 곳에서 확인되고 있어서, 역사의 전말을 다시 드러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독립운동.. 2024. 12. 24.
하얼빈 영화 정보 - 개봉, 출연, 줄거리, 손익분기점, 뒷이야기 하얼빈 영화 정보개봉, 출연, 줄거리, 손익분기점, 뒷이야기 영화 《하얼빈》은 1909년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다룬 시대극으로, 독립군들의 고뇌와 첩보전을 스릴러 형식으로 그렸습니다. 단순한 영웅 전기 영화나 액션 영화로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영화는 안중근과 동료들이 이토 히로부미 암살 작전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갈등과 위기를 심리에서부터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영화 《오펜하이머》나 영화 《인터스텔라》도 진지하게 보는 노력이 없다면 보기 어려운 영화였습니다. 이 영화 역시 그렇습니다. 그러나 엄청난 제작비가 들어간 만큼 IMAX 화면의 영상미가 있습니다. 줄거리와 출연배우 등에 대한 영화 정보를 제공하지만, 줄거리 부분은 스포일러가 싫다면 그냥 넘어가길 바랍니다.   이 블로그는 "심.. 2024. 12. 21.
안중근과 김구 - 싸울 뻔했던 두 독립투사, 김구와 안중근의 인연 안중근과 김구 싸울 뻔했던 두 독립투사, 김구와 안중근의 인연 ​ 하얼빈에서 일본 통감을 암살한 안중근, 상해 임시 정부에서 독립투쟁을 이끌었던 김구. 그러나 안중근과 김구는 하마터면 서로 총질을 할 뻔했던 사이었습니다. 한국 근대사를 이끌었던 김구와 안중근의 인연을 이야기해 봅시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추 천 글 광복 70주년 - 한국이 반쪽만 광복이 된 이유 광복 70주년 - 한국이 반쪽만 광복이 된 이유 [광복 70주년 - 한국이 반쪽만 광복이 된 이유] 대한민국은 1945년 광복을 맞았고 1949년부터 광복절이 지정되었으니 2015년은 광복 70주년이 되는 해이고 광복절 지정 66주년이 되는 해.. 2022. 8. 14.
105인 사건 - 데라우치 암살사건, 신민회 해체 [105인 사건 - 데라우치 암살사건, 신민회 해체] 한일병합 이후 최대의 구속사건이 있었습니다. 무려 700여 명을 구속시킨 105인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데라우치 암살사건으로 날조되어서 신민회 해체까지 이르게 됩니다. 일제강점기의 탄압은 데라우치 총독 암살 미수를 빌미 삼아서 더욱 심해지게 됩니다. 신민회가 어떤 단체였는지, 105인의 암살자들은 어떤 이유로 탄압을 받아야 했는지를 살펴봅니다. [엮인 글]스티븐스 암살사건과 전명운, 장인환의사 (스티븐스 저격사건)​데라우치 암살사건의 흐름 이해 20세기에 들어선 후 일본은 조선을 침략하고 1905년 '을사늑약'을, 1910년 '한일병합'을 강제로 맺도록 합니다. 이로서 우리나라는 1905년 외교권을 빼앗기고 1910년 나라를 빼앗기게 됩니다. 이에 .. 2019. 1. 20.
암살 실존인물 - 남자현, 김원봉, 안중근, 김상옥, 윤봉길, 염동진, 노덕술 [암살 실존인물 - 남자현, 김원봉, 안중근, 김상옥, 윤봉길, 염동진, 노덕술]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을 다루다보니 영화 암살의 실존인물이 누구인가에 대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실존인물도 있고 가상을 결합한 인물들도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암살의 줄거리를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이용하면 됩니다. 영화 암살 줄거리와 감상 포인트 링크 영화 암살에서 거론되는 남자현, 김원봉, 염동진, 노덕술, 안중근, 김상옥, 윤봉길 등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으면 영화를 보는 재미도 더할 것입니다. 영화 암살 실존인물 1 - 남자현, 김원봉 영화 암살에서 '안옥윤'은 독립군 소속으로 있다가 상관을 죽인 이유로 사형수가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암살조에 뽑은 이유는 엄청난 사격실력 때문입니다. 여기까지는 .. 2017. 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