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주의2 미하일 브루벨 - 악마를 그린 화가의 그림이 검게 변한 이유 [미하일 브루벨 - 악마를 그린 화가의 그림이 검게 변한 이유] 화가 미하일 브루벨은 악마를 그린 화가로 유명합니다. 그래서인지 정신병과 눈이 멀어져 간 말년의 안타까운 삶에는 안타까움이 남는 화가이기도 합니다. 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рубель(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브루벨)의 그림들은 별로 남지 않고, 그나마도 검게 변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악마의 그림이 검게 변한 이유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러시아 아르누보의 창시자이며 창작의 집착 때문에 힘든 삶을 살았던 한 화가의 이야기입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엮인 글] 추상화의 아버지 칸딘스키와 현대추상화그림을 보는 법 악.. 2019. 12. 29. 데카당스 문학과 유미주의에 대한 18세기 유럽 살펴보기 [데카당스 문학과 유미주의에 대한 18세기 유럽 살펴보기] 데카당스란 세기말적 경향을 말한다 2천년 전 로마 말기는 물질이 풍부해지면서 사회적 빈부차가 극심해지고 상류층은 향락주의에 빠지게 됩니다. 낭비와 퇴폐문화가 만연하면서 로마는 멸망의 길에 들어서게 되는데, 19세기 후반에 유럽에서 이러한 향락, 퇴폐주의를 본받는 문예사조가 다시 생기면서 이를 데카당스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데카당스란 퇴폐주의자들이란 뜻인데,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영국 등 유럽으로 퍼지며 문학과 미술 등 예술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기존의 질서를 바탕으로 한 전통 가치관을 거부하고 방탕한 자유와 무질서의 혼란 속에서 미적 기준을 찾으려 했습니다. 데카당스 이전의 문화는 원칙과 질서정연한 것에서 아름다움을 찾으려했지만 데카당스는 이것을.. 2015. 2.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