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란? - 맹자 성선설, 순자 성악설, 고자 성무선악설]
인간의 본성은 성선설일까? 성악설일까?
철학의 시작은 인간과 우주의 본질은 무엇일까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철학은 인간과 우주를 과학적이고 논리적으로 탐구하여 본질을 이해하고 나아갈 방향을 설정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철학의 영원한 주제 중의 하나는 인간은 본래 선한 존재일까, 악한 존재일까에 대한 질문입니다.
공자에 이어 동양사상의 학문적 발전을 이룩하게 해 준 맹자는 중국의 전국시대인 기원전 300년경에 살았던 인물입니다. 맹자는 인간의 본질이 원래 선한 존재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이것이 맹자의 성선설입니다.
인간이 악행을 하는 것은 원래 가지고 태어난 선한 성질을 더럽혀서 생기는 죄라고 여겼습니다. 그래서 맹자는 성선설에 의해 인간이 살아야할 바를 설명합니다. 맹자의 성선설에 의하면,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항상 선한 본래의 마음을 지키려고 노력해야 하며 초심을 잃지 않도록 마음을 닦기 위해 학문을 배워야 한다고 합니다.
인간의 본"성"은 착하고 "선"한 존재라는 맹자의 성선설은 곧 인간의 의지로써 바르게 살 수 있다는 메시지를 줍니다. 맹자의 성선설에서 우리가 배울 것은 인간의 착한 마음을 유지하려면 아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태어난 본성은 착하나 더럽히지 않으려고 아무 것도 받아들이지 않고 살 수는 없습니다. 설령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바보처럼 살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맹자의 성선설에 의해 선함을 유지하면서 살려면 끊임없는 깨달음이 필요하고 그 방법은 학문을 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때의 학문은 일반적인 공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에 대해 순자는 성악설을 설파하였습니다. 순자는 기원전 250년경인 전국시대를 살며 공자, 맹자의 사상을 더욱 체계화한 인물입니다.
순자는 성악설에서 인간은 본래 태어날 때부터 악한 존재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인간은 항상 "예"를 가지고 규칙을 잘 지켜야 바르게 살 수 있다고 합니다. 전쟁이 난무하는 전국시대의 시대적 특성 때문인지 "예절"을 정해 놓은 "법질서"를 특히 강조하게 됩니다.
(순자)
순자의 성악설은 애초에 인간은 이기적인 존재이고 자신만을 위해서 타인에 대한 해악을 본능적으로 할 수 밖에 없다는 개념에서 출발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성악설적인 인간들은 사회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지나친 성악설은 공멸을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그에 대해 순자는 말합니다. 예를 지켜서 순화시켜야 된다는 것입니다. 순자의 성악설에 의하면 인간은 어차피 악한 존재이지만 규칙과 법으로 이러한 문제를 순화시킬 수 있으며 인간이 법치를 존중하면 사회 전체도 선순환이 된다는 것입니다.
본능 이외에는 백지상태라는 성무선악설
인간은 원래 선하다는 맹자의 성선설, 원래 악하기 때문에 예를 지키라는 순자의 성악설과 다르게 인간은 태어날 때 아무것도 모르는 순수한 존재라는 성무선악설도 있습니다. 말 그대로 본성이 전무하니 선도 악도 아니라는 설입니다.
고자도 전국시대의 사상가인데 이 문제에 대해 맹자와 논쟁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고자는 성무선악설에서 인간이 태어날 때 가지는 것은 식욕과 성욕 같은 것 밖에 없고, 그 외의 성질은 자라면서 얻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환경과 자신의 노력에서 선한지 악한지가 결정된다고 하였습니다.
(맹자와 고자의 토론)
맹자가 성선설을 말하며 인간의 선한 본질을 얘기한 것에 반대하여 인간의 본질은 아무 것도 없으며 인간이 선해지는지 악해지는지는 교육과 삶 등의 인간적 의지에 의해서 결정될 뿐이라고 했습니다. 공자와 맹자는 인간의 성선설을 위해서 국가와 성군이라는 봉건체제가 필요함에 무게를 두었지만 고자의 성무선악설은 교육 등의 사회체제의 중요성에 더 무게가 있다는 차이가 있겠습니다.
고자의 본래 이름은 고불해입니다. 역시 유명한 학자였으나 지금에는 자료가 많지 않습니다. 공자와 맹자의 사상이 유교의 후계자들에 의해서 학문 사상계를 점령해 나간 것과 달리 고자의 사상을 잇는 후계자들은 주류가 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맹자와 논쟁을 벌일 정도라면 그 역시 성인에 근접한 수준의 경지에 올랐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현대에 있어서도 인간은 성선설의 존재인가, 성악설에 대한 존재인가에 대한 논쟁은 끊임이 없습니다.
서양의 사상계와 비교한다면 맹자의 성선설은 루소의 이론과 비슷하겠습니다. 하지만 차이는 많습니다. 둘 다 성선설에 기초하지만 맹자는 국가의 군주를 중요한 가치로 제시했고 루소는 국가 역시 위험한 억압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
서양 사상계에서 고자와 비슷한 입장을 취한 인물은 로크입니다. 역시 성무성악설과 비슷하지만, 고자의 교육이 인간의 본성을 억압하는 것은 소용없다고 본 것과 달리, 로크는 교육에 의해 강제로 본성을 만들어내려고 하는 것과 차이가 있습니다.
맹자의 성선설, 순자의 성악설, 고자의 성무선악설에서 우리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은 인간이 원래 선하냐 악하냐의 논쟁이 아닙니다. 맹자든 순자든 고자든 하나같이 결론적으로는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가치를 지키며 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타고난 본성이 무엇이든 살아가는 인간의 의지가 형편없다면 성선설이든 성악설이든 성무선악설이든 인간은 악하게 된다는 결론도 같습니다.
(로그인 필요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