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아노5

말할 수 없는 비밀 OST 노래 시크릿(Secret)과 OST 수록곡 말할 수 없는 비밀 OST​ 주걸륜 작곡 Secret(不能說的秘密) ​ [말할 수 없는 비밀 OST 노래 시크릿(Secret)과 OST 수록곡]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시크릿. 영어 제목 Secret, 대만어 제목 不能說的秘密)"의 주제곡은 감독이며 주연 배우인 주걸륜이 직접 작곡하고 팡원사가 작사한 곡입니다.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의 OST와 등장 곡들은 모두 큰 관심을 받았었는데, 그중에는 클래식한 곡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평가가 좋습니다. 특히 피아노 배틀 장면에서 나오는 쇼팽의 곡들은 영화 수록을 위해 편곡된 곡이며, 일반인들이 듣기 좋도록 가요화했으므로 클래식이 익숙하지 않은 관객들에게도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 2021. 1. 7.
그것만이 내 세상 영화 줄거리 결말 - 이병헌, 박정민, 한지민 - 서번트 증후군이란 뜻 [그것만이 내 세상 영화 줄거리 결말 - 이병헌, 박정민, 한지민 - 서번트 증후군이란 뜻]그것만이 내 세상 영화 줄거리는 증후군이 있는 동생과 이복형의 이야기입니다. 서번트 증후군이란 뇌의 장애가 있지만, 특정 분야에서는 천재성을 보이는 증상을 말합니다. 너무 흔해빠진 줄거리이기 때문에 결말을 기대하고 볼 영화는 아닙니다. 그러나 이병헌의 찌질한 연기, 박정민의 연구를 통한 연기, 한지민의 무게감 있는 연기를 보는 재미라면 볼만합니다. 특히 박정민은 이 배역을 위해서 6개월간 자원봉사를 하고 6개월간 피아노 연습을 했다고 합니다.2018년 개봉했으며 최성현 감독이 윤여정, 이병헌, 박정민, 한지민, 최리 주연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글은 영화 그것만이 내 세상 줄거리, 결말, 서번트 증후군에 대한 스포.. 2019. 11. 30.
추상화의 아버지 칸딘스키와 현대추상화그림을 보는 법 [추상화의 아버지 칸딘스키와 현대추상화그림을 보는 법]추상화의 아버지는 칸딘스키입니다. 그의 인생을 확 바꾸어 놓은 그림 두 점의 일화는 유명합니다. 두 그림에서 큰 깨달음을 한 칸딘스키는 미술이론가로서도 큰 업적을 남겼습니다. 어떤 사람은 묻습니다. 추상화그림은 이해가 안 간다고... 그럴 때 칸딘스키의 말을 관찰해 보면 현대추상화그림을 보는 법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던 그림들을 통해 추상화를 이해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의 순서]1. 현대추상화를 탄생시킨 그림 12. 추상화의 아버지 칸딘스키 그림 23. 현대추상화그림을 보는 법 현대추상화를 탄생시킨 그림 1 현대추상화의 아버지 '칸딘스키'가 원래부터 화가였던 것이 아닙니다. 그의 마음에 큰 영향을 끼친 그림 2점이 있었는.. 2017. 9. 22.
나넬 모차르트 - 모차르트의 누나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 [나넬 모차르트 - 모차르트의 누나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음악의 천재라면 단연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생각나는데, 그에게는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라는 누나가 있습니다. 그녀 역시 음악적 재능이 뛰어났지만 동생의 그늘에 가려서 빛을 못 본 사람이기도 합니다. 영화 나넬 모차르트는 누나인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의 알려지지 않은 삶을 그려내며 화제가 되었었습니다. 한편으로는 여자이기 때문에 재능을 키우지 못한 안타까움을 주기도 합니다. [글의 순서]1. 모차르트의 누나 나넬2. 여자라서 포기한 음악3. 마리아 안나 모자르트 재평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누나 3대 작곡가로 유명한 모차르트에게는 모차르트의 빛에 가려져 주목받지 못한 누나가 있었습니다. 누나에게도 천재적인 음악적 재능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 2017. 2. 11.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 - 원래는 A선상에 있었던 관현악 모음곡 [바흐의 G선상의 아리아 - 원래는 A선상에 있었던 관현악 모음곡] 드라마나 영화의 배경음악으로 많이 쓰이는 바흐의 곡 중에 "G선상의 아리아"는 특히 유명합니다. 마음이 차분해지는 선율 때문에 클래식을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편하게 들을 수 있는 곡입니다. 하지만 바흐의 원곡은 G선상이 아니었습니다. 바이올린 연주를 위해 편곡되면서 G선상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그 덕분에 바흐의 원곡까지 유명해진 사연을 알고 들으면 좋을 듯합니다. G선상의 아리아라고 불리게 된 이유 유명한 G선상의 아리아는 바흐의 관현악 모음곡 3번에 들어 있는 곡입니다. 원래 이 곡에는 이름이 없었습니다. 당시의 관례대로 Orchestral Suite No. 3 in D major BWV 1068 - "Air"라고 불립니다. 해석하자.. 2016.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