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5공화국3

전두환 12.12 군사반란 그 후 - 서울의 봄 뜻과 K-공작이란 뜻 K-공작 계획 서울의 봄과 전두환 ​ [전두환 12.12 군사반란 그 후 - 서울의 봄 뜻과 K-공작이란 뜻]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 때 왜 블랙리스트를 만들었는가 하는 것과 조중동 보수 언론이 왜 그토록 충성을 했던가에 대한 단적인 역사가 있었습니다. 1979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죽음 이후 왔던 서울의 봄이란 자유는 12.12 군사반란 이후 K-공작이란 것으로 철저히 무너졌습니다. 정부가 조직적으로 언론을 관리하고 탄압했던 이유는 아무 생각 없이 믿는 어떤 국민들을 조종하기 쉬웠기 때문입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추 천 글 광복 70주년 - 한국이 반쪽만 광복이 된 이유 광복 70주년 - 한국이.. 2021. 2. 1.
고려대 김준엽 총장 - 장준하의 인연과 독재에 맞선 학자 [고려대 김준엽 총장 - 장준하의 인연과 독재에 맞선 학자]전 김준엽 고려대 총장은 1940년대에는 일제에 맞서며 광복군에 있었으며, 1980년대에는 독재에 맞서며 대학 총장에 있었던 사람입니다. 또한 김준엽은 장준하와 각별한 사이였고, 전두환에게 맞서다가 물러난 학자였습니다. 정치권력의 유혹도 있었지만 끝내 제자를 사랑하는 학자로 남은 김준엽의 삶을 추적해 봅니다. [글의 순서]1. 독재정권 아래서의 대학의 현실2. No라고 말한 고려대 김준엽 총장3. 광복군 김준엽과 장준하의 인연4. 총장을 계속하라는 시위의 김준엽 독재정권 아래서의 대학의 현실 1979년 10월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사건이 있었습니다. 그해 12월, 나라가 혼란에 빠졌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군인들은 쿠데타를 일으켜서 정치권력을 차.. 2017. 9. 21.
역대 대통령 선거와 당선 대통령 지지율 - 3.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역대 대통령 선거와 당선 대통령 지지율 - 3.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오랜 군사독제에서 벗어날 희망을 흔히 "서울의 봄"으로 표현합니다. 1979년 대통령 시해사건으로 암울한 시기를 맞았지만, 한국은 민주화의 다시 맞을 기회를 가졌습니다. 그러나 1979년 전두환 등 군부는 또 다시 쿠데타로 정권을 빼앗았습니다. 이에 대한 민중의 저항으로 민주주의를 되찾기까지 많은 희생이 있었습니다. 보수권에서는 민주화집회를 아직도 빨갱이시위라고 부르지만, 이런 시위를 통해서 한국은 아시아 최초로 국민이 직접 민주화를 이루어낸 첫 국가가 되었습니다. 제10대 대통령 최규하 100% / 단독 후보 1979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부마사태 등 민심이 떠나가는 가운데, 결국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박정희를 시해하는 10.2.. 2015.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