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대3

의사협회(의협) 총파업 - 의대증원 공공의대 원격진료 첩약급여화 의사 총파업과 의사 수 의사협회(의협) 총파업 - 의대증원 공공의대 원격진료 첩약급여화​주제 분류: 의료서비스 충돌- 정부의 의사 수 증원 정책- 대한의사협회의 반대 이유- 의협 총파업의 문제- 의대증원, 공공의대, 원격진료, 첩약급여 건강보험이 글은 위의 관점에서 최근 발생한 의사 총파업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엮인 글] 진보진영이 알아야 할 선별적 복지에 대한 과제 ​의협 의사 총파업과 의사 수 대한의사협회가 정부의 의료개혁을 의료 4대악이라면서, 수용할만한 답변이 나오지 않으면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했습니다.의협이 말하는 4대악 정책이란 첩약 건강보험 적용, 원격진료 도입,.. 2020. 7. 23.
남수단 슈바이처 이태석 신부 - 울지마 톤즈의 주인공 [남수단 슈바이처 이태석 신부 - 울지마 톤즈의 주인공]​ 어떤 사람은 종교를 믿으라고 강요하듯 외치고, 어떤 사람은 그런 말 한마디 없이 희생과 봉사로 모범을 보입니다.'슈바이처'는 20세기 초에 아프리카에서 지극한 헌신을 한 신학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체로 이런 사람들은 자신의 공로를 자랑하지 않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사람 중에는 남수단의 슈바이처라는 '이태석 신부'님이 있습니다. 그 역시 묵묵히 봉사했던 성직자입니다.다큐멘터리 는 이태석 신부의 이야기입니다. 그의 이야기를 읽으며 참된 종료란 무엇인지를 생각해 볼 일입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엮인 글] 제주도 맥그린치 .. 2020. 1. 15.
엘리자베스 블랙웰 - 최초의 여의사, 투표로 의대에 들어가다 [엘리자베스 블랙웰 - 최초의 여의사, 투표로 의대에 들어가다] 미국 최초의 여의사 엘리자베스 블랙웰이 의과대학에 들어가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그녀의 입학을 결정하기 위해서 의과학생들이 투표를 하고 나서야 가능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패미니즘적 관점이나 개인의 성공으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차별과 기회의 평등에 관한 역사로 이해를 해야 합니다. 유리벽은 양성이든 계층이든 집단이든, 어디서도 위험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글의 순서]1. 최초의 여의사와 의대 투표2. 엘리자베스 블랙웰의 일생3. 퀘이커교와 의료 현실의 문제점 최초의 여의사와 의대 투표 '엘리자베스 블랙웰'은 1849년 미국 최초의 여의사가 된 사람입니다. 블랙웰이 최초의 공식 전문의가 된 것은 여권신장 뿐 아니라, 차별에서 기회의 평.. 2017.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