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법2

세종대왕의 고기 편식 - 세종, 고기와 비만, 당뇨병 [세종대왕의 고기 편식 - 세종, 고기와 비만, 당뇨병]수많은 왕들 중에서 "고기"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이 세종대왕일 정도로 세종의 고기 편식은 유별납니다. 세종대왕과 고기의 일화들을 보면 비만과 당뇨병으로 고생할 수밖에 없었을 것 같습니다. 세종의 편식은 현대병과도 연결해서 생각해 볼만 합니다. [글의 순서]세종대왕은 편식대왕세종대왕과 고기세종의 고기 편식과 질병 세종대왕은 편식대왕 드라마를 보면 `세종대왕`은 날씬하고 잘 생기고 목소리도 좋은 배우가 연기를 맡습니다. 혹은 너무 연구를 많이 해서 세종이 허약체질인 것처럼 표현하는 책도 많습니다. 그러나 세종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달리 뚱뚱하고 질병투성이인데다가 편식까지 심한 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이런 얘기들은 세종과 고기의 .. 2018. 2. 2.
차례 제사 상 차리기 - 홍동백서, 조율이시, 어동육서는 근거 없는 말 [차례 제사 상 차리기 - 홍동백서, 조율이시, 어동육서는 근거 없는 말] 한국인은 제삿날 외에도 설날, 추석에 제사상을 올립니다. 제사 상 차리기는 워낙 번거로워서 홍동백서, 조율이시, 어동육서 등을 외우기도 합니다. 그러나 한때 이런 말들이 근거가 없다는 것이 밝혀져 화제가 되기도 했었습니다. 실질적인 차례상의 의미보다 허례허식을 중요시한 풍토가 만들어낸 말들이라고 합니다. 홍동백서, 조율이시, 어동육서 근거 없는 말 유교국가를 자처해 온 조선은 예법에 따라 제사를 지냈습니다. 그 전통은 지금도 중요하게 전해지지만, 상다리가 휘도록 제삿상을 차리다 보면 명절이 오히려 힘들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옛 유교 문헌에서 홍동백서나 조율이시, 좌포우혜, 어동육서 등은 찾아볼 수가 없다고 합니다. 다시 .. 2016.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