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인2 보부상 패랭이 목화솜 유래, 이유 - 황국협회 보부상 상징 [보부상 패랭이 목화솜 유래, 이유 - 황국협회 보부상 상징] 조선시대는 농업을 권하고 상업을 억누르는 정책을 폈기 때문에 경제발전이 늦었습니다. 그러나 그러던 중에도 전국적인 단체로 활동했던 보부상은 황국협회를 만들어 조선말까지 이어졌습니다. 한편 이들은 그저 장사치인 것이 아니라 나라의 고난을 함께 동참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보부상 패랭이의 목화솜 유래와 이유도 여기서 출발합니다. 보부상의 상징이 된 물미장도 역시 그러합니다. 은밀하게, 그러나 충성되게 역사 속에 숨어 있던 그들에게는 나름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전설 같기도 하고 특이하기도 한 옛날이야기를 하며 조선 상인들을 현대에 다시 이해해 보려고 합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 2019. 9. 29. 김창수(김구) 치하포 사건 실화 - 명성황후 시해범 살해 논란 [김창수(김구) 치하포 사건 실화 - 명성황후 시해범 살해 논란]김구의 백범일지는 거의 온 국민의 필독서입니다. 하지만 백범일지를 토대로 영화가 만들어지거나 할 때마다 기록이 잘못 됐다는 논란이 끊이질 않습니다. 특히 젊은 시절의 김창수(김구 본명)가 치하포 사건에서 명성황후 시해범이라며 살인을 한 것은 논란이 많습니다. [글의 순서]1. 김창수(김구) 치하포 사건 역사2. 김구(김창수)의 치하포 사건 논란3. 김구 치하포 사건 추론과 최초의 전화 논란 김창수(김구) 치하포 사건 역사 백범 '김구' 본명은 '김창수'입니다. 김구는 1876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습니다. 김창수가 '치하포 사건'을 겪은 해는 스물 한 살이 되는 1896년의 일입니다. 김구가 태어난 1876년은 굴욕적인 '강화도 조약'이 .. 2017. 10.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