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17

갑부 하워드 휴즈 유언장 - 아이언맨과 25센트의 기적 [갑부 하워드 휴즈 유언장 - 아이언맨과 25센트의 기적]친절했다는 이유로 엄청난 액수의 하워드 휴즈의 유산을 받았다는 미담이 있습니다. 이른바 25센트의 기적이라는 것인데, 처음 보는 사람에게 수천억의 유산을 주었다는 하워드 휴즈의 유언장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일부는 진실이고, 일부는 진실이 아닌 이야기입니다. 하워드 휴즈는 미국의 억만장자입니다. 기이한 행동을 하기로 유명한 하워드 휴즈는 영화 아이언맨의 모델이기도 합니다. 살았을 때, 해보고 싶은 것은 거의 다 하고 살았다는 사람이기도 합니다. [글의 순서]1. 하워드 휴즈와 25센트의 기적2. 하워드 휴즈의 유언장과 유산3. 갑부 하워드 휴즈와 아이언맨 하워드 휴즈와 25센트의 기적 인터넷에 떠도는 "25센트의 기적"이라는 글은 억만장자 '.. 2017. 7. 2.
마윈 알리바바 회장 - 짝사랑과 영어실력, 중국 부자의 성공스토리 Q 마윈이 영어를 잘한 이유, 성공한 과정은 어떤가요? A 마윈 알리바바 회장 - 짝사랑과 영어실력, 중국 부자의 성공스토리 중국 부자 1위로 올라선 마윈 알리바바 회장의 성공스토리는 각종 마케팅 강연에서 예를 들 정도로 유명합니다. 그외에도 마윈이 영어선생님을 짝사랑해서 영어를 잘하게 되었다든가, 수학 낙제에도 불구하고 IT사업의 선두기업을 만들어낸 일화들은 성공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또 하나의 이야깃거리가 됩니다. 가난한 항저우의 한 소년이 세계적인 갑부가 되는 과정을 추적해 보았습니다. 알리바바 마윈, 영어선생님을 짝사랑하다 중국의 온라인 전자상거래 회사인 '알리바바'의 회장 '마윈'은 중국 상하이 인근의 도시인 '항저우' 출신입니다. 마윈의 성공스토리가 화제인 것은 가정환경이 가난했고 공부도 잘하지.. 2017. 1. 13.
천고마비, 신데렐라와 유리구두, 낙타와 바늘 - 번역의 착각들 [천고마비, 신데렐라와 유리구두, 낙타와 바늘 - 번역의 착각들] 한 웹 번역 서비스에 '옛날에 백조 한마리가 살았습니다'라고 입력하면 'Once upon a time there lived a 100,000,000,000,001'라고 번역되어 나와서 웃음을 주곤 합니다. 역사적으로도 번역의 오해로 인한 일화들이 꽤 많습니다. 천고마비, 신데렐라와 유리구두, 낙타와 바늘귀 등 번역 착각에 의한 대표적인 사례 몇 개를 살펴봅시다. 신데렐라의 유리구두가 아니라 털신 실내화라구? 세계적으로 유명한 동화 중에도 이런 논란은 있습니다. 동화 신데렐라에 나오는 유리구두는 오타에 의한 실수라는 논란입니다. 그 주장에 의하면 신데렐라에 등장하는 유리(verre)를 뜻하는 단어가 털(vair)로 해석되었어야 맞다고 합니다.. 2016. 1. 27.
평균, 중앙값, 최빈값 - 평균 연봉 발표가 엉터리인 이유 [평균, 중앙값, 최빈값 - 평균 연봉 발표가 엉터리인 이유] 2014년의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 연봉이 3150만원이라는 정부 자료가 있습니다. 월급쟁이들은 이 통계를 보고 놀랄 수밖에 없습니다. 체감 월급과 너무나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평균을 어떻게 구하냐에 있습니다. "보통"의 값을 구하는 방법에는 평균, 중앙값, 최빈값, 절단 평균, 가중 산술 평균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산술평균이라고 부릅니다. 이 외에 도형 등도 포함하여 사용되는 기하평균, 조화평균, 멱평균 등이 있으며, 평균이 얼마나 적정한가는 보기 위해 분산과 편차라는 것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평균이라는 착각의 수학에 대하여 연봉이 3150만원이라는 얘기는 월소득이 약 262만원이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대한민국은 소.. 2015. 9. 10.
칭기즈칸(징기스칸) 테무진의 사랑과 가족사 [칭기즈칸(징기스칸) 테무진의 사랑과 가족사] 흔히 징기스칸이라고도 부르지만 정식 명칭은 칭기즈칸입니다. 칭기즈칸은 12세기에 태어나 13세기에 몽골제국을 세운 인물이기도 하며, 본명은 "테무진"입니다. 테무진에게는 정부인인 "보르테"와 장남인 "주치"가 있었습니다. 테무진은 두 번이나 보르테와 헤어질 운명에 처했지만, 잊지 않고 찾아갔습니다. 장남 주치도 남의 씨라는 꼬리표가 항상 따라다녔지만, 테무진은 눈감고 자신의 아들로 받아들였습니다. 역사 상 최고의 정복왕으로 알려진 칭기즈칸(징기스칸)의 가족에 대해 알아봅니다. 아버지의 죽음이 불러 온 테무진과 아내의 첫 번째 이별 먼저 테무진과 그의 가족에 대해 이해하려면 몽골의 사회관습을 알아 두어야 합니다. 몽골제국이 세워지기 전의 몽골은 씨족단위로 흩어.. 2015.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