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2

지록위마란 뜻 - 유래와 어원, 진시황제 고사와 사자성어 한자 지록위마란 뜻 진나라 진시황제의 고사에서 유래한 사자성어 이 말은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말도 안 되는 걸로 우긴다"는 뜻과 "권력을 쥐고 다른 사람을 실험한다"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그 이유를 설명합니다. 지록위마의 유래와 뜻은 그 어원이 중국 시황제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진나라 2대 황제 시절의 환관 조고에 대한 이야기를 고사로 가진 사자성어입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추 천 글 묘서동처란? - 올해 사자성어 묘서동처의 뜻과 유래, 한자, 의미 풀이 묘서동처란? - 올해 사자성어 묘서동처의 뜻과 유래, 한자, 의미 풀이 묘서동처 뜻과 유래, 의미 (올해의 사자성어) 교수들이 정한 202.. 2022. 9. 30.
한 문제와 등통 : 한나라 문제의 꿈에 나타난 황두랑의 등씨전 [한 문제와 등통 : 한나라 문제의 꿈에 나타난 황두랑의 등씨전]옛날 한나라에는 등씨전이라는 돈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돈의 명칭은 한나라 문제의 꿈에 나타났다는 이유만으로 총애를 받은 황두랑(등통)의 이름이었습니다. 뱃사공이었다가 마음대로 돈을 찍어 쓸 정도로 총애를 받은 등통과 한 문제의 이야기는 운명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게 하는 오랜 고사이기도 합니다. [글의 순서]1. 한나라 황제의 꿈에 나타난 황두랑2. 한 문제와 등통의 일화3. 한나라 문제 이후의 등통의 운명 한나라 황제의 꿈에 나타난 황두랑 중국의 옛말 중에 '동산(銅山)'이란 말은 "산에서 동(銅)이 채굴되니 가만히 있어도 놀고먹을 수 있는 산"이란 뜻입니다. 당시에 돈을 만드는 재료가 구리(동)였기 때문에 이런 말이 생겼는데,.. 2017.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