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지식 칼럼/과학&기술101

자성유체란? 자석에 붙은 액체, 자성유체의 성질과 원리 [자성유체란? 자석에 붙은 액체, 자성유체의 성질과 원리] 지구에서 컵에 물을 따르는 것은 간단합니다. 중력 덕분에 옮겨지는 것이지요. 지구에서는 기계 사이에 윤활유를 바르는 것도 간단합니다. 중력 덕분에 기계를 타고 흘러주니까 복잡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성유체란 그래서 발명된 것입니다. 하지만 자성유체의 성질과 원리를 이용하면 지구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명품이기도 합니다. [글의 순서]1. 자석 같은 액체, 자성유체 성질2. 아폴로 계획, 나사의 자성유체 발명3. 자성유체의 원리와 성질 자석 같은 액체, 자성유체 성질 진공이며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 물을 쏟으면 커다란 물방울이 되어서 공중에 둥둥 떠 있습니다. 우주인이 물을 마실 때는 흡입해서 마.. 2017. 9. 10.
화소, 픽셀, 편광의 이해와 편광안경의 원리 - 영상 정보의 표현 [화소, 픽셀, 편광의 이해와 편광안경의 원리 - 영상 정보의 표현]우리 눈에 보이는 TV 원리, 모니터 원리를 이해하면 빛의 성질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특히 이런 것들을 쉽게 이해하려면 단어의 뜻도 함께 알아두어야 하고, 핵심부품의 특징을 분류해서 구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은 이런 것들을 신경 쓰면서 읽어가야 합니다. 우선 화소, 픽셀, 편광의 원리와 개념, 그리고 3D 편광안경에 대해 알아봅니다. [글의 순서]1. 화소(픽셀) 개념, RGB의 원리2. 빛은 횡파인가? 종파인가?3. 편광을 통해 영상을 보는 원리 [엮인 글 링크]사진 인화 사이즈와 폰카메라 화소(픽셀), 해상도 이해 - 화소란? 픽셀이란? 해상도란? 화소(픽셀) 개념, RGB의 원리 영상과 사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 2017. 9. 5.
전자석의 자성과 정보 저장 - 앙페르법칙, 패러데이법칙 [전자석의 자성과 정보 저장 - 앙페르법칙, 패러데이법칙]자석은 참 신기한 물질입니다. 자석을 이용하면 전기를 만들 수도 있고, 반대로 전기를 이용해서 자석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하는 것이 교통카드와 하드디스크이며, 우리는 매일 이것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제, 전자석의 성질을 어떻게 이용하면 되는지 그 원리를 알아봅니다. [글의 순서]1. 사실은 세상의 모든 것이 자석이다2. 자성, 자기장, 자화라는 단어3. 앙페르법칙과 패러데이법칙 사실은 세상의 모든 것이 자석이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마그네틱카드와 컴퓨터 하드디스크는 자석의 성질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물질을 전자석에 반응하게 해서 정보를 기록하고 읽어냅니다. 그런데 어떤 물질은 자석에 반응하고, 어떤 것은 특수한 경우에만 반응하며, 또.. 2017. 9. 3.
카카오톡 사진 고화질 - 카카오톡 사진 보내기와 원본 저장 [카카오톡 사진 고화질 - 카카오톡 사진 보내기와 원본 저장]카카오톡 사진 보내기를 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잘못하면 소중한 원본 사진이 날아가고 축소된 사본 사진만 받게 되는 것입니다. 카카오톡 사진을 고화질로 보내는 방법을 생각 보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습니다. 중요한 사진을 카카오톡 원본으로 보내려면 알아둘 것들이 있으니 참고하길 바랍니다. [글의 순서]1. 잘못하면 원본 사라진다2. 카카오톡 사진 고화질 저장3. 카카오톡 사진 보내기 방법 잘못하면 원본 사라진다 A가 B의 중요한 기념사진을 찍어 주기로 했습니다. 촬영된 사진들은 스마트폰으로 4Mb가 넘는 고화질들입니다. A는 B에게 카카오톡 사진 보내기를 이용해 보내줬습니다. B가 고맙다는 인사를 하자 A는 남의 사진을 가지고 있을.. 2017. 7. 22.
단세포생물, 아메바 뜻과 뇌 먹는 아메바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단세포생물, 아메바 뜻과 뇌 먹는 아메바 네글레리아 파울러리]대표적인 단세포생물인 아메바는 가끔씩 미국아메바라는 국제뉴스로 충격을 주기도 합니다. 이것은 일명 뇌먹는 아메바라고 알려진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때문입니다. 그런데 사실 이 녀석은 국내에도 서식합니다. 그렇다고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아메바의 뜻부터 특징, 그리고 네글레리아 파울러리까지 알아보며 생존의 방식을 알면 됩니다. [글의 순서]1. 뇌먹는 아메바 네글레리아 파울러리2. 단세포 아메바와 세규의 차이3. 단세포생물 아메바의 이분법 뇌 먹는 아메바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학창시절 생물시간에 단세포 생물을 공부할 때 현미경으로 보게 되는 것이 '아메바'입니다. 그래서 생각이 단순한 사람을 아메바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이때 말한 아메바의 .. 2017.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