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
뜻, 한자 뜻, 날짜, 팥죽 먹는 이유
동지에 팥죽을 먹는 것은 잘 알려져 있고, 그 이유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왜 하필 동지에 먹을까요? 이런 사소한 것까지 한 번 알아봅시다. 한자의 뜻부터 풍습까지 전체적으로 동지에 대한 상식을 늘려 보길 바랍니다.
24절기 중 대설과 소한 사이에 있으며, 밤이 가장 긴 날입니다. 이 말은 다시 생각하면 동지부터는 다시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아주 옛날에는 동지도 설날처럼 여기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럼 이제 설명을 시작하겠습니다.
이 블로그는 "심심할 때 잡지처럼 읽는 지식"이라는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즐겨찾기(북마크) 해 놓으면 심심할 때 좋습니다.
동지 - 뜻, 한자 뜻, 날짜, 팥죽 먹는 이유, 풍습
동지 한자 뜻과 날짜
24절기는 한 해를 24개의 절기로 나누는데, 음력이 아니라 양력입니다. 농업 사회에서는 계절 변화에 맞춰 적절한 시기에 농작물을 재배하고 수확하기 위한 것이므로 태양이 더 중요했던 것입니다. 동지는 24절기 중 22번째에 해당하며, 일 년 중에서 밤의 길이가 가장 길고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입니다.
낮이 가장 짧기 때문에 햇빛도 적어서 날씨가 춥습니다. 태양의 위치가 적도 이남 23.5도 지점, 즉 황경 270도에 있을 때를 동지로 잡는다고 합니다. 동지의 날짜는 양력으로는 대략 12월 21일이나 22일 경에 찾아옵니다. 冬至(동지)의 한자 뜻은 冬(동. 겨울) + 至(지. 다다르다)이므로 겨울에 왔다는 의미입니다.
양력은 12월 21일 정도지만, 음력 날짜는 매년 유동적이라서, 음력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라고 구분하기도 합니다. 맑은 날이 많으나,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건조한 날씨가 이어집니다. 겨울철의 한복판에 해당하므로 매우 추운 날씨로 이어집니다.
동지 유래와 작은 설
동지의 의미와 유래는 매우 다양합니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태양의 움직임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태양력인 동지에 태음력을 더해 태음태양력으로 세시풍속을 만들고 의미를 가졌었습니다. 동지는 태양의 부활을 상징하는 날로 여겨져서, ‘아세’ 혹은 ‘작은 설’이라고도 불렸습니다. 설날 이전에 또 설날로 여기기도 했다는 것입니다.
고대에는 동지를 일 년의 시작으로 여겼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이날을 계기로 한 해의 시작으로 간주하기도 했습니다. 동지가 지나면 낮의 길이가 조금씩 길어지기 시작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작과 희망으로 본 것입니다. 그래서 이 날은 동지 팥죽 먹기, 달력 나누기 등을 했으며, "호랑이 장가 가는 날"이라는 속담도 나누었습니다.
동짓날의 가장 대표적인 풍습은 팥죽을 먹는 것인데, 이는 팥의 붉은색이 나쁜 기운을 쫓는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팥죽에는 새알심을 넣어 끓이는데, 가족 구성원의 나이 수대로 새알심을 넣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팥죽을 먹기 전에는 먼저 사당에 올리는 동지 고사를 지냈으며, 팥죽을 집안 곳곳에 두거나 대문 근처에 뿌려서 잡귀를 쫓기도 했습니다.
팥죽 유래와 애동지
대부분 이런 풍습은 중국에서 유래했다고 잘못 알고 있습니다. 요순시대의 공공이란 사람이, 죽어서 귀신이 된 역질 귀신을 물리친 데서 유래했다고 적는 것이 바른 것입니다. 요순시대는 고조선 단군과 비슷한 시기이며, 동북아의 공통의 문화이므로 중국만의 풍습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현대 중국인들은 동지에 팥죽이 아니라 교자와 탕원을 먹습니다.
그리고 동짓날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속설도 전해집니다. 이것은 설날에 떡국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는 속설처럼, 동지를 왜 작은 설날이라고 불렀는지를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동짓날 팥죽을 먹지 않으면 쉽게 늙고 잔병이 생긴다는 믿음도 있었을 만큼, 팥죽은 동짓날 중요한 음식입니다.
애동지에는 어린아이에게 좋지 않다는 속설이 있어서 팥죽 대신 팥떡을 해 먹기도 했습니다. 애동지에 팥죽을 쑤어 먹으면 삼신할머니가 아이들을 돌보지 못해 병에 잘 걸리고 나쁜 일이 생긴다는 속설 때문인데, 민속 관련 협회에서 이것은 덕이 더 좋은 것이기 때문이지 먹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고 풀이했으니 틀린 속설입니다.
팥죽은 혈액 순환을 돕고 장 기능을 원활하게 하며 체내 독소 배출을 유도하며 면역력 향상에 좋습니다. 활동이 줄어들고 방에서 긴 겨울을 지내야 하는 사람에게는 여름의 삼계탕만큼이나 몸보신을 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더구나, 서민들도 누구나 먹을 수 있기에 전국적인 풍습이 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동지 풍습과 달력, 부적
또 다른 동지 풍습으로 새 달력을 주고받는 것도 있습니다. '동지 책력'이라고 불리는 달력을 주고받았는데, 농사 문화에서는 날짜 인식이 매우 유용한 정보였기 때문입니다. 궁중에서도 새해 달력에 '동문지보'라는 어새를 찍어서 나눠주곤 했습니다. 황장력, 청장력, 백장력 등으로 불린 달력은 당시엔 매우 귀한 것이었습니다.
이렇게 달력을 주는 것은 오늘날 연말연시에 새 달력을 주고받는 풍습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요즘엔 다이어리를 선물하기도 하는데, 역시 같은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과거 농경사회에서 생긴 관습이지만, 한 해를 미리 계획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유용한 것이었니, 필요한 것을 선물로 준다는 의미가 강합니다.
동짓날에는 동지 부적을 만들어 붙이는 풍습도 있었는데, 뱀 사(巳)자를 거꾸로 써서 붙여 잡귀를 막으려 했습니다. 팥의 붉은색과 함께, 부적은 악귀를 쫓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졌습니다. 사실 부적은 마음의 정성을 담아서 보호해 주려는 소망에서 시작된 것이지만, 점점 기준과 형식이 정해지며 일정한 모양이 되어 갑니다.
동지 날씨와 속설
그리고 동지 하례라는 풍습도 있었는데, 며느리가 시어머니나 할머니에게 버선을 지어 선물하는 아름다운 풍속입니다. 새 버선을 신고 길어지는 해의 그림자를 밟으면 수명이 길어진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겨울 해는 낮고, 그래서 물체의 그림자는 길어집니다. 길다는 것은 "오래 산다"는 것과 연결되며 생긴 따뜻한 마음입니다.
동짓날의 날씨나 자연현상과 관련된 속설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동짓날 일기가 따뜻하면 이듬해 질병이 많이 생기고 사람이 많이 죽는다고 믿었으며,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징조라고 여겼습니다. 제대로 추워야 해충들이 살아남지 못하고 다음 해 농사에서 번식하는 수가 줄어드는 것이니까 미신적인 것은 아닙니다. [저작권법 표시] 이 글의 원본: 키스세븐(www.kiss7.kr)
앞서 동지는 작은 설날이라고도 불렸다고 했습니다. 지난 해가 가고 새 해가 오는 것으로도 여긴 날이므로, 이 날에는 팥죽을 이웃들에게 나눠주며 방문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이때 한 해 동안 있던 빚을 갚거나 불편한 이웃과 화해하기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함께 볼 심심풀이 지식거리
애기동지란, 어른동지란 뜻과 날짜 - 애동지, 중동지, 노동지와 팥죽 먹는 날짜
[ 동지 - 뜻, 한자 뜻, 날짜, 팥죽 먹는 이유, 풍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