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산3

지하철 공사 방법은 어떻게 땅굴을 파나? - 지하철 공법들 [지하철 공사 방법은 어떻게 땅굴을 파나? - 지하철 공법들]지하철 공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어떤 것은 도로를 막고 공사를 하고, 어떤 것은 언제 지하철 공사를 했는지 모를 정도로 주변 피해 없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건축과 달리 토목은 거대한 자연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그 안전성도 더 많이 요구되는 작업니다. [글의 순서]지하철 공사 방법의 종류들개착공법, NATM공법, C.A.M공법, 쉴드TBM공법, T.R.c.M공법첨단기술, 토목 건축 지하철 공사 방법의 종류들 지하철은 도시 내부의 땅 속에 구멍을 뚫어 땅굴을 만드는 공사입니다. 토목건설이 잘못되면 땅이 꺼져서 싱크홀을 만드는 등의 큰 피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지하철 공사는 안전성이 가장 우선이지만, 공사 중에 인근 주민들.. 2018. 2. 3.
필리버스터란? 그 보다 중요한 것은 테러방지법의 반대 이유 [필리버스터란? 그 보다 중요한 것은 테러방지법의 반대 이유] 필리버스터가 인기검색어에 올라왔습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많은 기사는 여당이 테러방지를 위해 법을 만드는데 야당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한다는 기사만 잔뜩 있습니다. 대통령이 국회를 비난하는 기사만 있고, 왜 테러방지법이 논란인지를 말해주는 기사는 적습니다. 국민이 판단할 정보가 없는 언론은 무책임합니다. 우리는 테러방지법이 반대되는 문제점을 잘 알고 있는 걸까요? 필리버스터란 무엇인가? 다수당의 횡포에 평화적으로 맞서기 위한 소수당의 방법으로 알려진 것이 필리버스터입니다. 필리버스터란 원래는 좋은 의미가 아닙니다. 유럽의 스페인 같은 곳에서 해적질을 말할 때 쓰이는 단어였습니다. 당시에는 재산을 뺐는 필리버스터였지만, 현대가 되며 필리버스터란 .. 2016. 2. 25.
평균, 중앙값, 최빈값 - 평균 연봉 발표가 엉터리인 이유 [평균, 중앙값, 최빈값 - 평균 연봉 발표가 엉터리인 이유] 2014년의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 연봉이 3150만원이라는 정부 자료가 있습니다. 월급쟁이들은 이 통계를 보고 놀랄 수밖에 없습니다. 체감 월급과 너무나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평균을 어떻게 구하냐에 있습니다. "보통"의 값을 구하는 방법에는 평균, 중앙값, 최빈값, 절단 평균, 가중 산술 평균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산술평균이라고 부릅니다. 이 외에 도형 등도 포함하여 사용되는 기하평균, 조화평균, 멱평균 등이 있으며, 평균이 얼마나 적정한가는 보기 위해 분산과 편차라는 것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평균이라는 착각의 수학에 대하여 연봉이 3150만원이라는 얘기는 월소득이 약 262만원이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대한민국은 소.. 2015. 9. 10.